1-600.jpg
▲ 부산, 세종에 밀려 29일 '국가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에서 탈락한 송도국제도시 11공구 전경. <기호일보DB>

‘스마트시티 개발 모델’ 해외 수출 등을 줄기차게 외쳐 온 인천이 정작 정부의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사업에서 부산·세종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인천이 신청한 송도국제도시 11공구는 이번에 전국 11개 후보군에 명단을 올렸으나 워터프런트 사업에 따른 기반시설 조성 지연 등으로 발목이 잡혀 탈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9일 서울 광화문KT에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회의를 열고, 국가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의 컨셉을 구현할 최적지로 세종 5-1 생활권(274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219만㎡) 등 2곳을 선정했다. 이는 정부가 지난해 11월부터 약 3개월 간 민간전문가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6개 유관부처 관계자가 함께 스마트시티 정책 로드맵 확정을 위한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를 개최한 결과다.

송도 11공구와 마찬가지로 백지 상태에서 새롭게 조성되는 세종 5-1 생활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KTX와 고속도로, 국제공항, 신항만 등 교통 인프라가 주변에 잘 구축돼 있다. 여기에 국책연구단지와 첨단산업단지가 배후에 자리잡고 있어 입지적으로 혁신 수요가 풍부하다는 이유에서 선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두 도시는 2022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의 이번 선정은 ‘지방선거를 앞둔 역차별’이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선정 지역보다 스마트시티 기반시설을 이미 구축한 경기도 판교와 인천 송도국제도시 등이 제외됐기 때문이다.

특히 공항·항만·산업단지를 끼고 있는 송도 11공구의 입지와 특성이 선정된 두 도시가 자랑 하는 수변도시와 융·복합 자족도시의 콘셉트 등에 전혀 밀리지 않는다. 송도는 2009년 국토교통부의 ‘U-City(유시티) 시범도시’ 공모에 부산과 나란히 선정돼 최근까지 유비쿼터스 기술(BcN·USN·RFID 등)을 도시공간에 반영하는 사업 등을 5단계까지 벌여 왔다.

이와 함께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자체 개발한 스마트시티 플랫폼 기술과 3건의 관련 특허까지 취득하는 등 본격적인 스마트시티 기술의 해외 수출까지 앞둔 상태다.

인천경제청은 매립이 거의 마무리된 송도 11공구가 정부의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선정에서 탈락한 이유로 기반시설 미비를 들고 있다. 유용토 부족으로 매립이 늦어지고 워터프런트 적용 등으로 2020년께야 도로망을 확보할 수 상황에서 당장 올해부터 단계별로 추진되는 정부 정책사업의 일정을 도저히 소화할 수 없었던 것이 이번 선정에서 고배를 마신 결정적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정부와 송도사업의 타임라인이 맞지 않아 아쉽게 됐다"며 "기존 스마트시티의 확산을 위한 실증단지 사업 참여를 위해 지난 4일 관련 용역을 발주하고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 산업혁명위원회 관계자는 "일각에서 제기된 ‘지역 균형발전에 입각한 안배가 아니냐’는 질문에 "각 후보지를 통합적으로 검토해 내린 결론"이라고 전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스마트시티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