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가 7공구 사업을 완료하지 않은 채 11공구에 추가 부지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인천시 연수구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전경.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가 7공구 사업을 완료하지 않은 채 11공구에 추가 부지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인천시 연수구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전경.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연세대학교와 151층 인천타워 유치가 가시화하고…(중략) 인천의 미래가 국제 비즈니스, 첨단산업, 레저·관광, 교육 정보의 중심지로 발전하는 커다란 전환점에 있다."

 안상수 전 인천시장이 2006년 7월 시의회 본회의 개원식에서 한 말이다. 연세대 유치를 인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안 전 시장은 봤다.

 하지만 12년이 지난 지금, 연세대 국제캠퍼스가 송도국제도시의 첨단산업을 이끈다거나 지역사회와의 상생발전을 꾀한다고 믿는 인천시민은 거의 없다.

 오히려 시의회를 비롯해 시민사회단체는 2006년 1월 연세대와 인천시가 맺은 ‘연세대 송도국제화복합단지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MOU)’와 같은 해 5월 체결된 ‘토지공급계약’을 ‘퍼주기’로 보는 시각이 많다.

 연세대 유치부터 3.3㎡당 약 50만 원의 토지공급계약까지 시는 시의회의 동의 없이 수의계약으로 진행했다. 시는 연세대 국제캠퍼스 부지 92만여㎡를 총 1천400억 원에 토지공급계약을 맺은 두 달 후에서야 계약금(선수금) 35억 원을 받았다.

 당시 연세대는 교양학부 송도캠퍼스 이전 등 두루뭉술한 이전 구상 탓에 옛 재정경제부 산하 경제자유구역위원회의 사업계획 승인 여부조차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여기에 연세대가 조성원가의 절반 수준에 받은 92만여 ㎡ 중 주거 및 상업용지(26만여 ㎡) 등 수익용지의 비중이 커 토지이용의 적정성 등도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연세대의 토지 이용은 타 대학에 터 활용 계획의 ‘바로미터’였다. 공과대학 없는 연세대의 계획은 ‘이코노믹 존’인 송도국제도시를 ‘스쿨 존’으로 전락시켰다는 비아냥이 쏟아졌다. 연세대에 줄 땅을 첨단 기업에 줬더라면 7공구에 첨단 부품 관련 업체 100여 개가 입주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시는 연세대 논란으로 인하대, 인천대 등 각 대학들의 땅 요구 봇물에 부랴부랴 용역을 벌여 5·7공구를 미국 실리콘밸리를 본 딴 산학연 클러스터 콘셉트로 확정 짓고 재경부(당시)에 개발계획변경 신청을 했다.

 여기에 연세대 토지공급가격을 향후 3.3㎡당 약 50만 원에서 조성원가인 150만 원으로 올리고, 시 지분 51%의 특수목적법인 송도국제화복합단지개발㈜을 통해 사업을 추진했다.

 당시 송도국제화복합단지 내 주거 및 상업용지 등의 개발수익은 8천 억∼1조 원으로 예상됐다. 연세대 측은 이 중 8천억 원을 시로부터 투자받을 예정이었다. 헐값 매각에 이어 ‘링키지’ 방식의 연세대 건립비 지원도 물의를 빚었다. 시는 협약 변경을 통해 최대 6천500억 원까지만 지원한다고 말을 바꿨다.

 시의 지원과 연세대의 계획대로라면 2014년부터 국제화복합단지의 융합 연구 성과가 나왔어야 했다. 학사 및 박사, IT분야 고급인력을 배출하고, 세계 유수의 연구소인 MIT 미디어랩에 버금가는 첨단 융합 클러스터로 7공구는 우뚝 서있어야 한다.

 하지만 연세대는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단지 연세대 송도캠퍼스로 대학의 부동산 수익자산만 올릴 꼴이 됐다.

 황인성 시의원은 2016년 연세대 캠퍼스 조성사업과 관련해 "너무 폐쇄적이고 단일 집단이 결정하고 중간에 운영이익이 어떻게 쓰여는지도 모르는 상황이 지속됐다"며 "국내 3위의 대학으로서 창피한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