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나 보유 자산으로 빚을 갚기 버거운 고위험가구가 1년 만에 3만4천 가구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금리가 상승하면 중·저소득층에 해당하는 소득 2∼3분위가 유달리 타격을 입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3월 말 고위험가구는 34만6천가구로 부채를 진 전체 가구 대비 3.1%였다.

 2016년 3월 말(31만2천가구)보다 3만4천가구 늘었다.

 고위험가구는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DSR)이 40%를 초과하고 자산평가액 대비 총부채(DTA)가 100%를 넘는 가구를 뜻한다. 소득이나 자산매각으로 부채를 상환하기 버겁다는 의미다.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 대비 고위험가구 비중을 소득분위별로 뜯어보면 2분위(하위 20∼40%)가 1.0%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1분위(하위 20%)와 3분위(40∼60%) 각각 0.7%, 4분위(60∼80%) 0.4%, 5분위(80∼100%) 0.3% 순이었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순위에 변동이 살짝 생기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은 분석결과 대출금리가 100bp(1bp=0.01%포인트) 오르면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 대비 고위험가구가 3.1%에서 3.5%로 0.4%포인트 상승했다.

 2분위에서 고위험가구 비중이 1.0%에서 1.1%로 여전히 가장 높았고 3분위는 0.7%에서 0.8%로 확대돼 그 다음이었다.

 1분위(0.7%→0.7%)는 변함없었고 4분위(0.4%→0.5%)와 5분위(0.3%→0.4%) 역시 고위험가구 비중이 각각 0.1%포인트씩 상승했다.

 대출금리가 상승 폭이 200bp가 되면 전체 고위험가구 비중은 4.2%까지 확대됐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