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 당선인의 인천대학교 해양전문 단과대학 신설 공약이 지역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등 바다를 통한 남북 경협을 위해 해양대학 신설 필요성은 충분한 상황이다. 그러나 인천대는 학과별 정원 조정이 불가피해 구성원간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24일 박 당선인 측에 따르면 인천대 전통적인 학과 정원을 줄이거나 교육부에 증원을 요청해 해양대학 정원을 확보한다는 입장이다.

증원을 하려면 수도권정비계획법을 개정해야 한다. 관련법 7조는 과밀억제권역에서 학교의 증설(입학 정원 증원) 허가·인가·승인 또는 협의 등을 못하게 돼 있다.

또 정부가 학령인구 절벽으로 국립대 정원을 줄이고 통폐합하는 상황에서 교육부에서 정원을 받아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인천지역 고등학생 수는 올해 8만5천733명에서 2022년 7만1천491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인천대 해양대학은 생명과학 관련 학과를 만들 때처럼 여러 학과에서 3∼7명씩 정원을 빼내야 신설이 가능한 상황이다. 정원이 줄어든 학과의 반발을 잠재우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목포해양대와 비교해 인천대 해양대학 내 필요학과는 항해학과, 해사수송학과, 기관(시스템·공학)학과, 물류학과 등이다.

인천해양대학의 필요성은 10여 년전부터 나왔다. 2009년 시는 경제자유구역, 공항·항만 등을 중심으로 신해양시대를 선도할 글로벌 인력을 육성해 인천이 세계 해운 전문인력 양성·공급의 중심센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6천억 원을 들여 송도국제도시 11공구나 영종도 46만2천350㎡ 터에 국립해양대학을 짓는다는 계획을 마련했지만 부산·전남과 한국·목포해양대가 강하게 반대했었다.

지난해에는 인천신항 항로 증심 관련 어업피해 조사기관 선정에서 인하대가 부경대, 한국해양대보다 턱없이 낮은 점수를 얻어 해양대학 신설 필요성이 더욱 강조됐었다.

인천항발전협의회 관계자는 "종합대학인 한국해양대처럼 인천해양대를 만드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인천대 안에 단과대학으로 만드는 것이 현실적인 것 같다"며 "해사고와 인천대 해양대학이 해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재교육기관으로 해사고를 해양수산연수원처럼 활용하면 해양항만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당선인 측 관계자는 "부산항이 가진 물류 중심 해운산업과 인천이 가진 것은 여러 방면에서 다르다"며 "이 때문에 남북 경협 등 인천 바닷길을 활용할 수 있는 해양토목학과 등 학령인구 감소까지 따져 인천에 적합한 해양 관련학과와 단과대학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