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도시재생지원센터가 도시공사에서 시로 둥지를 옮기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시공사에 있다 보니 군·구 도시재생센터와 새로 생길 동별(현장) 도시재생센터와 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등의 지적 때문이다. 또 시 조직개편으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원도심전담)을 시 도시재생센터가 보좌할 필요성이 떠오르고 있어서다.

3일 시에 따르면 균형발전부시장 보좌 기능과 시·군·구와 동별 도시재생센터를 일원화하기 위해 현재 도시공사에 있는 시 도시재생센터를 균형발전부시장 아래 두는 방안이 유력한 상태다.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에도 광역도시재생센터가 기초도시재생센터와 현장도시재생센터를 총괄하도록 돼 있다. 인천에는 강화군과 동구, 미추홀구, 서구 등에 기초도시재생센터가 있다.

시는 조만간 현장도시재생센터를 만들 계획이다. 그동안 시 도시재생사업은 컨트롤타워가 없어 정책·기획 방향, 콘셉트 등이 우왕좌왕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각 부서별로 당장 발 등에 떨어진 불 끄기 바쁜 상태다. 시는 균형발전부시장 밑에 시 도시재생센터를 둬 컨트롤타워 역할도 맡길 계획이다. 이 때문에 조직 이전과 함께 도시재생센터도 손볼 계획이다. 시는 광역·기초·현장도시재생센터 간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하고 협업 시스템을 구축한다.

광역도시재생센터가 기초·현장도시재생센터 현황을 파악하기 쉽게 만드는 것이다. 또 마을만들기지원센터,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과 업무가 매우 유사한 ▶주민공동체 활성화 ▶주민역량 강화 ▶마을기업 육성 ▶주민조직 네트워크 등 분야는 연계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국회입법조사처 조사에서 지적한 도시재생센터의 권한을 갖지 못한 부분도 개선할 전망이다.

시는 성과 위주 사업추진도 지양한다. 주민의견 수렴에는 많은 시간이 들기 때문에 빠른 성과를 내기 어려워 성과위주의 사업 추진은 도시재생의 본질을 흐리게 할 수 있어서다. 영국의 대표적인 도시재생 사례인 런던 킹스크로스역 도시재생사업은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기 위해 6년간 7천500명이 353차례 회의를 열고 106개 합의사항을 도출했다.

도시재생센터는 행정기관과 주민 의견을 조율하고 다양한 참여 주체를 연계하는 중요 조직임에도 형식적으로 설립하다 보니 실제 현장에서 행정기관의 하부조직으로 인식되는 문제점도 개선한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