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제조업체의 탄소중립 실현에 지자체가 힘을 보태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26일 지난해 기초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제조업 온실가스 배출 특성과 탄소중립 대응 방안 연구’ 결과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지역 제조업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비롯해 각 기업의 탄소중립 인식, 준비 상황, 정부 지원 수요에 관해 진행했다.

연구에 따르면 인천의 경우 2018년 기준 산업부문이 인천 온실가스 총배출량 중 23.5%의 비중을 차지했고, 2019년 기준 제조업이 지역총생산의 23.1%를 차지했다. 최근 전 세계가 산업 부문에서 저탄소공급망을 구축 중이고, 유럽연합은 탄소국경 조정제도를 논의하는 만큼 중소기업에도 탄소중립이 매우 중요한 현안이 되리라 예상된다.

인천연구원이 지난해 7월 한 달 간 인천지역 제조업체 301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업체 91%가 ‘기후변화 관련 적극 대응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는 동의했다. 하지만 탄소중립의 의미를 이해하느냐는 문항에는 65.1%가 ‘들어봤지만 잘 모른다’고 답했고, ‘안다’는 업체는 20.6%에 그쳤다. ‘모른다’는 업체는 14.3%였다.

또 ‘2050 탄소중립 대응 계획 여부’를 묻는 질문에 58.8%가 ‘지금도 없고 계획도 없다’고 답했고, ‘갖고 있다’는 업체는 고작 1%였다. 탄소중립 대응계획 수립을 하지 못했거나 어려운 이유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라는 답변이 44.6%로 가장 많았다. 정부가 시행하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 업체 모두 ‘없다’고 답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연구원은 탄소중립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인천시가 정부와 연계해 지역 중소기업 대상 교육과 홍보를 해야 한다고 봤다. 또 중앙정부와 협력해 각종 정보를 공유하거나 통합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더구나 탄소중립 과정에서 피해를 받는 업종·기업 지원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준 연구위원은 "제조업이 중앙정부 관리 영역이라 하더라도 소외되는 분야는 지방정부 차원의 관리와 노력이 병행해야 한다"며 "우선 지역 내 EU 대상 수출업체나 국내 RE100 선언 대기업 협력사를 파악하고, 중앙부처와 협력해 이들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파악과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