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영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 겸임교수
최원영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 겸임교수

얼마나 절망스러웠으면 스스로 삶을 포기하는 걸까요? 종종 뉴스에서 가족들이 목숨을 끊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드는 생각입니다.

사람들은 흔히 ‘죽겠다는 마음으로 살지 그랬어?’라고들 합니다. 그러나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그들이 마지막으로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반드시 이 절망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다’며 억지로라도 생각해야만 합니다.

「뿌리 깊은 희망」(차동엽)에서 저자는 자살을 결심한 어느 남자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한 남자가 자살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사업에 큰돈을 투자했다가 가진 모든 자산을 잃었고, 부인은 회사에서 해고 통지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남자는 「어떻게 실패에서 벗어나는가」라는 책의 저자만큼은 답을 줄 수 있을 거라는 희망으로 그를 만났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자기가 도울 수 없다면서 다른 사람을 소개하겠다며 남자를 거울 앞으로 데려가 말했습니다.

"이 사람만이 이 세상에서 당신을 일으켜 세울 수 있는 단 한 사람입니다. 이 사람을 차분히 관찰하고 이해하도록 노력해 보고, 어떻게 하면 좋을지 이 사람에게 물으십시오."

맞습니다. ‘살겠다’와 ‘죽겠다’의 두 갈래 길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는 오직 자신만이 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가 자신을 신뢰하는가, 불신하는가에 따라 선택은 달라집니다.

저자는 쇼펜하우어의 "진정한 희망이란 바로 나를 신뢰하는 것이다. 행운은 거울 속의 나를 바라볼 수 있을 만큼 용기가 있는 사람을 따른다"라는 말을 들려줍니다.

신(神)은 그 사람이 견딜 만큼의 시련만 준다고 합니다. 그러니 내가 지금 절망의 늪에 빠졌다고 해도 그곳에서 벗어나는 힘 또한 나에게 이미 숨겨져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시간이 필요할 테고, 그 과정 역시 무척 힘겹고 고통스러울 겁니다. 그러나 그 고통의 끝에는 어김없이 성장과 성숙이라는 보물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니 견뎌 내야만 합니다. 그러려면 자신에 대한 믿음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됩니다.

「세상에서 가장 멋진 지혜 이야기」(치우칭지엔)에 성공에는 출신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동화 같은 사례가 나옵니다.

어린이파티장에서 아이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우리 아빠는 의회의 시종관이야. 아주 높은 직위라고. 성이 ‘센(Sen)’으로 끝나는 평민 출신 사람들은 영원히 큰 그릇이 될 수가 없어. 그러니 평민들 앞에서는 늘 위엄 있는 모습을 보여 섣불리 접근할 수 없도록 거리를 유지해야 해."

"하지만 우리 아빠는 너희들 아빠뿐 아니라 그 누구의 아빠도 신문에 나게 해 줄 수 있어. 각계각층 인사들이 우리 아빠를 두려워해. 어떤 기사를 신문에 낼지는 순전히 우리 아빠 마음이거든."

그때 문틈으로 몰래 파티를 구경하던 한 소년이 중얼거렸습니다. "나도 저 아이들 틈에 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소년은 평소 주방 청소를 해 주고 주방장에게 잘 보인 덕에 겨우 허락을 받고 그곳에 들어왔지만, 파티에 참석한 아이들과는 너무도 달랐습니다. 소년이 바로 성이 ‘센’으로 끝나는 평민이었기 때문입니다.

세월이 흘러 그때 그 소녀들이 숙녀가 된 어느 날, 그들 중 몇 명이 금빛으로 휘황찬란한 성으로 초대받았습니다. 성 안에는 아름다운 예술품들이 즐비하게 진열돼 있었고, 그들은 거기서 그 작품의 주인을 만났습니다.

주인은 바로 그때 그 소년이었습니다. 이제 위대한 조각가의 신분으로 그들에게 추앙받는 인물이 돼 있었던 겁니다. 바로 덴마크의 위대한 조각가인 베르텔 토르발센이었습니다.

금수저 가문에서 태어나면 여러 면에서 유리할 겁니다. 그러나 그들이 가질 수 없는 것은 아픈 경험들입니다.

아픈 경험이 절박한 희망을 만들고, 그 간절한 희망이 열심히 노력하게 하는 끈으로 이어져 결국 성장과 성숙이라는 보물창고의 문을 활짝 열어젖히게 될 것입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