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인공지능(AI)이 인간에게 던진 도전장, 결국 인문학이 답입니다."
 

김재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가 13일 쉐라톤 그랜드 인천호텔에서 열린 제435회 새얼아침대화에서 ‘생성 인공지능(AI) 열풍은 확장된 인문학을 위한 기회다’라는 주제로 강연에 나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알파고 사건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충격과 최근 열풍이 분 챗GPT까지 생성 인공지능 발전에 두려움마저 느낀 분들이 많다"며 "인공지능 관련 기술 변화와 발전을 추적·관찰하고 철학적으로 연구한 결과 인문학이 답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인공지능은 주체가 되는 일은 불가능하다. 사용자가 결과물을 얻고자 입력하는 값으로 인간이 만들어 낸 창작물과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럴듯하게 생성한다.

생성 인공지능은 글과 그림, 사진 등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결과물을 만들어 내지만 중요한 건 결과와 품질이다. 이미지나 영상, 언어는 결과에 따라 평가가 달라진다. 학습 자료를 인공지능에 입력하고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하는 건 결국 인간이며, 이건 인공지능이 갖지 못하는 고유한 능력이다.

인공지능 발전은 인간 창작력을 뛰어넘지 못하는, 결국 인간의 보조 기계일 뿐 이를 잘 활용하는 건 결국 인간이기에 인문학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인공지능 시대에 갖춰야 할 능력은 진위와 가치를 읽어 내는 능력이다"라며 "인공지능은 도구일 뿐 결코 주체가 아니다"라고 강조한다.

이어 "실제 생활에서 응용 시 부정확한 지식으로 오류를 발견하지 못했을 때와 생성물 검증 시간도 고려해 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더욱이 인공지능은 스스로 학습하는 데 사람과 비교해서 훨씬 더 많은 데이터 양이 필요하다. 지성은 경험에서 나온다. 인공지능은 습득하는 경험이 간접적이고 인간이 전수해 준 지식만 갖기 때문에 결국 한계를 드러낸다.

김 교수는 "인공지능은 우리가 원리를 알면 두려울 게 없다"며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좀 더 능동적인 자세를 취하고 깊게 공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챗GPT 경우 데이터를 기반한 언어 영역만 생성되며, 이 모델의 특성을 이해하면 못하는 게 무엇일지 짐작도 가능하다. 그러나 오류와 허위는 반드시 포함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려면 핵심 공통 요소를 갖추고 기본 문해력과 확장된 언어에 대한 문해력을 갖춰야 한다.

김 교수는 "확장된 언어, 문해력, 인문학이 필요하고 그것이야말로 융합과 관련한 굉장히 중요한 작업이다"라며 "누구라도 핵심 공통 역량을 갖추는 게 중요하고, 그 교육을 담당하는 게 확장된 인문학의 구실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손민영 기자 sm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