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의 한 버스업체 차고지 모습.(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경기도 용인시의 한 버스업체 차고지 모습.(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경기지역 버스업계가 ‘버스요금 인상’ 필요성을 제기했다. 2019년 이후 움직이지 않는 버스 요금에다 코로나19에 따른 수입 감소, 노동조합 인금 인상 따위가 겹친 데 따른 호소다.

22일 경기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도내 버스업계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1조 원가량 수입이 줄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12월 기준 44억 원이던 하루 평균 수입이 올해 1~9월 평균 37억 원으로 84% 감소한 데 따른 추정치다.

더욱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상승한 지난해에는 1천800억 원가량 연료비 추가 부담도 있었다. 올해 발생한 추가 부담 연료비는 1천430억 원 규모다. 최근 5년간 수입 감소와 연료비 추가 부담 따위로 발생한 누적 적자 규모는 9천758억 원이다.

더불어 버스노조 임금 인상 요구도 겹친 상황이다. 6월부터 임금·단체협상을 벌였지만 접점을 찾지 못하고 평행선만 달린다.

이미 경기지역자동차노조, 경기도중부지역버스노조, 경기도지역버스노조 들로 구성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는 이달 13일 총파업을 가결했다.

참여자 중 97.4%가 파업에 찬성했다. 18일에는 파업 결의대회를 열어 총파업 수순을 밟았다.

이들은 오는 25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 노동쟁의 조정 회의에서 조정이 결렬하면 이튿날인 26일 총파업에 들어간다.

요구 사항은 준공영제 도입과 모든 종사자 1일 2교대 시행, 서울·인천 버스 수준 임금 인상(월 70만~80만 원·인상률 20%)이다.

협의회가 총파업을 예고한 데는 경기도가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2024년 1월에서 2027년으로 연기한 부분도 한몫한다. 협의회는 도가 당초 약속을 어겨 장시간 근로와 임금 차별이 이어진다고 반발했다.

앞서 지난해에도 총파업 직전까지 갔으나 도내 시내버스 6천500대, 1천100개 노선 민영버스를 모두 준공영제로 전환한다는 도 약속에 가까스로 봉합했다.

조합 관계자는 "경기지역 버스요금은 2019년 9월 이후 조정 없이 현행 요금을 유지 중"이라며 "코로나19 이후 수입 감소 따위로 경영이 악화해 일부 버스업체는 이미 임금 체불이 발생했다"고 했다. 이어 "일부 버스업체는 연료비조차 제때 못 내 연료를 수급받지 못하는가 하면 업계 자구 노력으로 감당할 수준을 넘었다"고 덧붙였다.

조합에 따르면 버스업체 5곳이 임금 76억 원을 체불했고, 8곳은 연료비 105억5천만 원을 내지 못했다. 자본 잠식 업체도 2019년 23곳에서 2020년 25곳, 2021년 31곳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조합 관계자는 "도가 요금 조정 요인을 준공영제 도입과 연계해 반영한다고 하나 2027년까지 단계를 밟아 시행하는 준공영제 완성까지 현행 요금 수준으로 노선버스 운영을 계속할 여력이 없다"며 "노선버스를 안정감 있게 운영하려면 요금 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안경환 기자 j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