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까지 산업재해로 숨진 노동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 감소했다. 중대재해 처벌 들에 관한 법률을 적용하는 50명 이상 사업장도 산재 사망자가 감소했다.

6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산업재해 현황 통계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재해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는 459명으로 작년 동기(510명)보다 51명(10.0%) 줄었다.

사고 건수 기준으로는 올해 9월 기준으로 449건 발생해 작년 동기(483건) 대비 34건(7.0%) 감소했다.

사고 유형별로 보면 ‘떨어짐’이 180명(39.2%)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이는 작년 동기보다 24명 감소했다. 이어 ‘물체에 맞음’이 작년 대비 23명 늘어난 57명(12.4%), ‘부딪힘’이 3명 증가한 53명(11.5%), ‘끼임’이 30명 감소한 48명(10.5%), ‘깔림·뒤집힘’이 3명 감소한 37명(8.1%)으로 집계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에서 작년보다 13명 감소해 240명, 제조업에서 작년보다 20명 줄어 123명이 사망했다. 기타 업종도 96명으로 작년 대비 18명 감소했다.

규모에 따라서는 상시근로자 50명 미만(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 원 미만) 사업장에서 267명으로 작년보다 41명 줄었고, 50인 이상(공사금액 50억 원 이상) 사업장에서 192명으로 작년 대비 10명 감소했다.

다만 상시근로자 50명 이상(공사금액 50억 원 이상) 중에서도 건설업의 경우에는 산재 사망자가 작년보다 15명(18.3%) 늘어난 97명으로 집계했다. 사고 건수로 95건으로 작년(74건)보다 21건(28.4%) 증가했다.

이는 DL이앤씨(옛 대림산업), 롯데건설, 현대건설, 대우건설 들 대형 건설사 소속 사업장에서 중대재해가 계속 발생한 영향이 있다고 본다.

노동부 관계자는 "(공사금액이) 120억∼800억 원인 사업장에서 산업재해가 증가했다"며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공기(공사 기간) 압박 따위가 영향을 줬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물이 높아지거나 지하로 깊게 들어갈수록 중장비를 투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위험요소가 많아진다"며 "위험의 융복합 현상이 일어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 올해 말까지 사망사고가 5건 이상 발생한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일제 감독을 벌인다. 아울러 건설업계에 위험성평가를 정착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위험성평가는 노사 스스로 유해·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안전대책을 수립·실행하는 일을 말한다.

지난해 1월 27일 시행한 중대재해처벌법은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50억 원 이상) 사업장에서 근로자 사망 따위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사고 예방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경영책임자를 1년 이상 지역 또는 10억 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한다.

내년 1월 27일부터는 2년 유예기간을 거쳐 50명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하는데, 업계를 중심으로 소규모 사업장에 법 규정을 이행할 역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합뉴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