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안와 앞쪽에 생긴 낭성 종괴(왼쪽)와 오른쪽 안와 뒤쪽에 생긴 시신경 종양.
왼쪽 안와 앞쪽에 생긴 낭성 종괴(왼쪽)와 오른쪽 안와 뒤쪽에 생긴 시신경 종양.
장선영 순천향대 부천병원 안과  교수
장선영 순천향대 부천병원 안과 교수

안와란 눈을 둘러싼 뼈와 근육, 지방, 혈관, 신경, 눈물샘을 일컫는다. 흔하지 않지만 안와에도 종양이 생길 수 있다. 그 중에서 ‘안와 양성종양’ 종류와 치료법을 알아본다.

안와 종양은 크게 악성과 양성으로 분류하는데 악성종양은 암을, 양성종양은 암이 아닌 종양을 의미한다. 안와에 종양이 생긴 경우 악성과 양성을 감별하기 위해 대부분 조직검사를 통한 확진이 필요하다. 악성종양이 아니더라도 시력 저하와 시야 결손 등 기능 문제뿐만 아니라 미용 문제를 유발할지 모르므로 조기 진단과 함께 적절한 치료를 받는 편이 좋다.

안와 양성종양은 생긴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시신경 근처에 생기면 시력 저하, 시야 감소 증상이,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이나 신경 근처에 생기면 안구운동장애, 복시, 사시 따위 증상이 나타난다. 눈물샘이나 안구 뒷부분에 종양이 커지면 안구 돌출이나 눈꺼풀 부종이 생긴다. 그 밖에 위치에 따라 결막부종, 종괴, 눈꺼풀 처짐도 나타난다.

안와 양성종양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종양에 따라 잘 생기는 연령·성별도 다양하다. 유피낭종과 표피모양낭종은 안와낭종으로 분류하며,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다형샘종은 눈물샘에 생기는 종양으로 40대 남성에서 자주 발생한다. 시신경교종은 시신경에 생기는 종양으로 중년 여성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그 밖에도 수막종, 신경집종, 혈관성 종양인 영아혈관종, 고립섬유종, 해면혈관종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아직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예방하기 어렵다. 따라서 갑자기 평소와 달리 눈에 뭔가 만져지거나 외관상 변형이 생기면 반드시 안와 양성종양을 의심하고 안과에서 빠르게 검진을 받아야 한다.

진단 방법은 환자의 얼굴을 관찰하고 만져지는 덩어리가 있는지 확인하며, 덩어리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한다. 이후 안구돌출계를 이용해 눈에 안구 돌출이 발생했는지 확인한다. 이학적 검사상 안와 사인이 명백하게 관찰되면 이후 CT, MRI 등 이미지 검사를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수술을 통해 제거 가능하나, 발생 위치에 따라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먼저 수술 전 CT·MRI 검사로 종양 크기, 위치, 성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한다. 안와 앞쪽에 위치한 종양은 상대적으로 쉽게 제거한다. 흉터 없이 제거하고자 쌍꺼풀 라인을 따라 절개하고 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안와 뒤쪽에 위치한 종양도 종류에 따라 박리가 비교적 쉬운 종양도 있으나, 일부는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다. 더욱이 안구 뒤쪽으로 시신경이 뇌와 연결되는 구멍이 있는 ‘안와첨’은 좁은 공간 안에 많은 신경과 혈관, 외안근 시작 부위가 가깝게 자리잡아 종양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수술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이에 안와첨 종양은 수술이 아닌 사이버나이프 같은 방사선치료로 크기를 줄이는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안와 뒤쪽 공간에 종양이 발생하면 종양 크기가 꽤 커질 때까지 환자가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력이나 시야에 이상이 없고 안구 움직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양성종양의 경우 경과 관찰로 치료 방향을 결정하기도 한다.

종종 안와 주위 뇌, 코 곁굴과 같은 주변 조직과 관련성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최상의 치료 결과를 위해 영상의학과, 신경외과, 이비인후과, 방사선종양학과, 성형외과 등 각 분야 전문가와의 원활한 협업이 중요하다.

안와 안에는 안구와 함께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자리잡으며 수술 부위가 매우 좁다. 또 종류와 위치에 따라 어떤 치료 방법이 가장 적절할지 결정하고 계획해야 하므로 전문 지식과 풍부한 경험으로 숙련된 성형 안과 전문의에게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관건이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안과 장선영 교수>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