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시간이 길수록 우울증 유발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근로자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사진> 교수 연구팀은 최근 ‘Journal of transport and heath’지에 ‘통근시간과 우울증상 사이 연관성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했으며, 20~59세 근로자 2만3천415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지역, 결혼 상태, 자녀 유무, 직업, 주당 근무 시간, 교대 근무 여부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분석했다.

이 교수팀에 따르면 하루 출퇴근시간이 60분 이상 소요되는 사람이 30분 미만인 사람에 비해 우울증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1.16배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출퇴근이라는 행위는 그 자체로 심리적·육체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여유를 앗아감으로써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성별에 따른 긴 출퇴근시간과 우울증 증상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남성은 ▶미혼인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 ▶장시간 근로를 하는 경우 두드러졌다. 반면 여성은 ▶다자녀(2명 이상)인 경우 ▶교대 근무를 하는 경우 증상이 더 잘 관찰됐다.

이동욱 교수는 "한국적인 상황에서는 출퇴근시간이 길수록 정신건강에 부정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다"며 "일과 가정이 균형 있게 양립하려면 장시간의 출퇴근시간을 줄이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최상철 기자 csc@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