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거나, 가스나 전기요금 같은 데이터의 분석으로 고독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등 AI와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정책이 경기도정에 도입된다. 최근 도청에서 열린 2024년 제1차 빅데이터위원회의 ‘AI와 빅데이터 기반 도정혁신과 산업발전 방안’ 에서 논의된 사업은 AI 마이데이터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서비스, AI 인재 양성, 발달장애인 AI 돌봄 서비스 지원  등 13개 사업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고독사 예방, 발달장애인 돌봄들에 AI를 활용하고, 각종 도정 현안에 빅데이터 분석을 도입할 계획이다.

‘AI 마이데이터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서비스’ 사업은 인공지능이 직접 문자를 보내고 전화를 걸어 대상자를 관리하는 AI콜과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고독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즉시 대응하는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이다. 또 ‘발달장애인 AI 돌봄 서비스 지원’ 사업은 장애인 가족의 일상생활 개선과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추진한다. 도가 AI를 활용, 고독사 위험이 큰 취약계층을 발굴하고 발달장애인 돌봄 도입을 추진하는 등 사회안전망 강화에 나선 것은 환영할 일이다.

우리 주위를 보면 하루하루의 삶이 고단한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돌봐주는 사람이 없어 고통스런 나날을 보내는 홀몸노인을 비롯해 가족의 해체로 어렵게 사는 소년소녀가장, 장애인 생활시설 등 소외된 채 외롭고 힘겹게 사는 이웃들을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지금도 힘겹게 궁핍한 삶을 지탱하고 있는 이웃들을 보듬기 위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강화는 시급한 일이다.

복지사각지대 해소는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다. 지금이라도 저소득 취약가구 뿐만 아니라 급격히 생활이 어려워진 가구,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 외롭게 지내는 홀몸노인 등으로 확대해 이들 위기가구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복지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어렵게 삶을 이어가는 복지 취약계층을 조기에 발굴하고, 이들을 보듬는 일이야말로 튼튼한 민주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밑거름이다. 한 발 앞선 정책으로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더욱 매진하는 경기도가 됐으면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