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청년정책을 기존의 연령에 따라 제공하는 방식에서 기회 제공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1일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의정부시 청년정책 방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원이 의정부 거주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청년들은 선호하는 일자리로 ‘삶의 여유가 있는 일자리’(33.8%), ‘소득이 많은 일자리’(28.2%), ‘안정적인 일자리’(26.4%)를 꼽았다. 직장 형태는 공기업(39.6%), 민간기업(21.8%), 프리랜서(17.4%) 등을 선호했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청년 취업 정책은 취업 정보 제공(29%), 일자리 체험(26%), 구직비용 지원(23.4%) 등 순이었다. 청년 창업과 관련한 정책 수요는 창업 비용 지원(45%), 창업교육과 멘토링(22.6%), 창업 공간 제공(19.6%) 등으로 쏠렸다.

가장 필요한 청년정책 유형을 묻는 문항에서는 금전적 지원(39%), 역량 개발(22.6%)들로 응답자의 51.8%는 경제적 취약 청년에게 금전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48.1%는 은둔 청년에게 상담 및 컨설팅이 가장 시급하다고 했다.

보고서는 학교 교육 과정과 기업 문화는 산업화 시절과 다르지 않지만 청년의 직업관, 인생관은 크게 달라져 청년이 지역에서 일자리를 구하거나 적응하는데 갈등과 혼란이 적지 않다고 진단했다. 또 대학 진학률은 높은 반면 청년 취업과 사회적 활동이 갈수록 위축되는 상황에서 단기적으로는 기업과 연계한 직업교육, 장기적으로는 고등학교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연구원은 지역 청년정책 관련해 ▶연령 중심에서 기회 중심 ▶참여 중심에서 역량 중심 ▶정책 대상 중심에서 세대 연결 중심 등으로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박건 기자 gu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