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대림대 교수
김필수 대림대 교수

자동차는 지난 130여 년 동안 이동수단으로 가장 중요한 일상생활 용품으로 성장했다. 긴 기간 자동차의 안전성을 보강하면서 각종 안전장치를 의무 장착했고, 각종 사고로 인한 사상자를 줄이는 확실한 정책이 자리매김한 상황이다. 

자동차에 탑승하고 이동하면서 생각지도 못한 사고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상자 발생은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일 수밖에 없다. 사고 이후보다는 이전에 선제 조치해 예방한다면 확실한 방법이 되는 만큼 사고 전후를 고려한 융합적 안전조치가 중요하다. 

이 중 자동차 화재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특히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화재 발생 시 조치 방법이 다른 만큼 차종에 따른 응급조치가 중요하다. 현재 국내 등록된 자동차는 약 2천550만 대 수준이고, 이 중 약 57만 대가 전기차다. 연간 발생하는 자동차 화재는 약 4천500~5천 건이다. 하루에 12건꼴인 셈이다. 여기에는 건설기계도 포함돼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화재는 드문 경우가 아니다. 

최근 흐름 중 전기차 화재가 늘어 걱정이다.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차 화재와 달리 배터리를 중심으로 온도도 높고 빠르게 확산하는 만큼 탑승자 안전을 위한 골든타임을 늘리는 게 중요한 요소다. 이와 함께 한두 건의 전기차 화재로 인해 공포감이 늘고 부정적 시각이 팽배하는 문제는 분명히 개선해야 한다. 

국내의 경우 자동차 화재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상태다. 자동차 화재가 발생하면 그냥 쳐다보고 구경만 할 정도로 적극적인 소화 행위는 이뤄지지 않는다. 자동차 화재가 발생하면 주변 자동차에서 모두가 소화기를 하나씩 들고 와서 함께 소화하는 선진국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자신의 차량에 소화기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재 국내 차량 7인승 이상에는 트렁크에 소화기가 의무 장착돼 활용하게 돼 있으나 존재 유무도 모르고, 관리도 하지 않아 수명에 영향이 큰 상황이다. 물론 소화기 의무 장착도 필요하고, 당연히 교육을 통해 자동차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적극 활용하는 반복 교육도 꼭 필요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