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희경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
송희경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

대부분 여성은 누군가의 딸에서 한 사람의 아내로, 또 아이들의 엄마로 성장한다. 이때 필연적으로 겪는 과정이 임신과 출산이다. 임신과 출산은 자궁(子宮)에서 이뤄진다. 그만큼 자궁은 여성에 있어 중요한 신체 부위 중 하나다. 여성을 상징하는 ‘제2의 심장’으로 불리는 이유다. 

자궁은 서양배 모양의 근육조직으로 길이는 7.5㎝, 폭은 5㎝, 두께는 2.5㎝로 여성의 주먹 크기와 비슷하다. 자궁근종은 자궁의 근육세포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하나의 딱딱한 덩어리(자궁근종)가 된 것을 말한다. 여성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한 양성종양으로, 35세 이상 여성의 40~50%에서 발견된다. 

발생 부위에 따라 자궁체부근종과 자궁경부근종으로 나뉘는데, 자궁체부근종이 전체 90% 이상을 차지한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졌다. 상당수는 별다른 자각증상 없이 평생을 지내기도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자궁근종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22년 61만5천883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60만 명을 넘었다. 2020년 51만4천260명으로 처음 50만 명을 넘은 이래 불과 2년 만에 약 10만 명, 20%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2만7천921명(37.0%)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9만2천60명(31.2%), 30대 10만2천895명(16.7%)으로 전체 환자 10명 중 8~9명을 30~50대가 차지했다. 20대 환자도 1만8천10명(2.9%)으로 하루 50명 정도가 병원을 찾았다.

자궁근종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증상은 환자의 25%에서 나타난다. 주요 증상은 월경 과다, 골반 통증, 변비, 빈뇨 등이다. 월경 과다가 가장 흔하고, 근종이 어느 정도 커지면 골반 통증을 일으킨다. 

간혹 근종의 크기가 아주 큰 경우 아랫배에서 만져지기도 한다. 특히 전체 불임 환자의 3%는 자궁근종이 원인으로, 가임기 여성이 생리 양이 많아지면서 생리통이 심해지면 자궁근종을 의심해야 한다.

자궁근종은 골반 내진 검사, 골반 초음파, MRI(자기공명영상촬영)로 진단하는데 특히 골반 초음파로 쉽게 진단 가능하다. 

치료는 근종 수, 크기와 위치, 조직 유착 여부, 증상 유무, 가임기 또는 폐경기 여부에 따라 보존적 요법, 호르몬 요법, 수술 요법으로 나뉜다. 자궁근종이 빠르게 자라지 않는다면 정기 검사를 통해 지켜보면 된다. 증상이 심해지면 자궁근종절제술, 자궁절제술, 약물치료를 한다.

자궁근종만을 제거하거나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이 확실한 치료법이긴 하지만 심리적 부담이 따르는 게 사실이다. 최근에는 개복수술 대신 로봇수술 또는 복강경수술을 많이 시행하고, 특히 단일공 로봇수술 또는 복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흉터가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어 부담을 크게 줄인다.

자궁근종을 예방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 다만, 비만한 여성에서 발생 위험도가 높고 적절한 운동과 채식이 자궁근종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러나 가장 확실하고 쉬운 대처법은 정기적인 초음파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다. 

자궁근종은 보통 30세 이후 발생 빈도가 높아져 35세 이상 여성의 약 40%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된다.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은 만큼 30세 이후에는 1년에 한 번씩 정기검사를 받는 게 필요하다.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송희경 교수>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