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14~2023년) 서울을 떠난 인구는 547만2천 명, 서울로 들어온 인구는 461만1천 명으로 집계됐다. 총 86만1천 명의 순유출(지난해 3만1천 명) 규모다. 서울을 떠난 이들은 주로 경기와 인천에 정착했다. 덕분에 인천은 전국 7개 특별·광역시 중 서울, 부산에 이어 세 번째로 300만 명을 넘어선 단일 도시가 됐다. 초저출산으로 인구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달성한 일이라 의미가 더 크다. 실제로 전국 특별·광역시 중 지난해 인구가 늘어난 도시는 인천뿐이다.

아마도 이런 위기의식 때문에 서울 중심의 기득권 세력들이 땅 따먹기에 혈안이 된 게 아닌가 싶다. 오죽하면 메가시티 개념까지 ‘메가시티 서울’로 왜곡·폄하했겠나. 연구자료들을 통해 드러난 서울의 인구 유출 사유는 한결같다. 주택과 가족, 직업, 교육, 주거환경 탓이 크다. 결국 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최상의 대책은 양질의 주택과 일자리를 늘리고, 삶의 질을 높이는 교육·주거환경을 구축하는 것뿐이다. 이를 외면한 채 ‘서울로 편입되면 집값 올라간다’는 말이나 하며 혹세무민해서야 되겠는가.

지난해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곳은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5곳이다. 다행히도 경기(4만5천 명)와 인천(3만4천 명)이 압도적인 1·2위를 차지했다. 일자리가 늘어나고 집값이 서울보다 싸다는 점이 주요 이유일 테다. 주목해야 할 점은 20대와 30대의 인구 이동이다. 연령대별 인구 이동을 보면 20대(22.8%)와 30대(20.1%)가 가장 높고 60대 이상이 7%대로 가장 낮다. 즉, 연령대가 젊을수록 직장에 따른 인구 이동이 활발하고, 고령화할수록 인구 이동 자체가 줄어든다는 의미다. 

결국 인천이 규모의 경제 등 압도적 우위를 지닌 서울·경기 틈에서 살아남을 방법은 자명하다. 양질의 일자리와 주택을 공급하고, 두 도시와 생활·경제권이 겹쳐지도록 교통망을 업그레이드하는 일이다. 출퇴근 문제를 비롯해 관광산업, 산업 분업화 등 모든 분야에서 서울·경기와 상호 연계해야 공존·공영할 기회도 많아진다. 인천시 제3차 도로건설·관리계획도 이런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지역 고유의 문제 해결도 중요하나 GTX 같은 정부의 신규 교통정책을 적극 반영하는 도로망 구축이 필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