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3월 2일부터 지역 모든 주택을 대상으로 폐가전 거주 형태별 맞춤형 무상 수거 서비스를 시행한다. 아울러 오는 6월부터는 대형 폐기물 스티커 대상 항목에서 가전류를 30년 만에 무상으로 변경한다.

시는 26일 오전 11시 시청 중회의실에서 이순환거버넌스와 폐가전 자원순환처리 체계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 이순환거버넌스는 환경부가 설립한 폐가전제품 재활용 비영리단체이면서 전자제품 제조사가 출자한 의무회수법인이다.

협약은 시 전역을 대상으로 거주 형태별(공동주택, 단독·연립주택)로 맞춤형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를 시행하는 내용이다.

협약에 따라 대형 폐가전과 소형 폐가전 등 폐가전제품 수집·운반·재활용 업무를 폐가전 의무대행기관으로 일원화해 처리하는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도입한다.

그간 폐가전은 대형과 소형의 배출 방법이 달랐고, 특히 소형 폐가전은 5개 이하로 배출할 때 무상 수거 서비스가 없어 생활폐기물로 버리는 불편을 겪었다. 일부 시민들은 배출 방법을 잘 몰라 소형 폐가전에 대형 폐기물 스티커를 붙이는 등 혼란을 겪기도 했다.

3월부터 소형 폐가전제품을 버리려면 공동주택은 관리사무소에 문의해 이순환거버넌스와 지정된 날짜·장소에 배출하면 된다. 단독·연립주택은 시 관할 청소대행업체에 전화 또는 인터넷(www.gm.go.kr)으로 배출일자를 신고한 후 정해진 장소에 내놓으면 된다.

또 대형·소형 폐가전제품을 5개 이상 배출하려면 인터넷(15990903.or.kr, www.gm.go.kr)이나 콜센터(☎1599-0903), 시 관할 청소대행업체에 전화해 방문 수거 신청을 하면 된다.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 시행과 더불어 시는 6월 관련 조례 개정을 통해 대형 폐기물 스티커 대상 항목에서 가전류를 30년 만에 전면 무상으로 변경해 서민경제 부담도 낮출 방침이다.

시민과 생산자가 직접 연결된 회수 처리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시민들이 배출한 폐가전의 자원순환 효율도 높아질 전망이다.

기존에 배출된 소형 폐가전은 부품 유실 등으로 재활용률이 22%에 그쳤으나 이번에 자원순환 처리체계가 구축됨에 따라 수거된 폐가전은 고부가가치를 지닌 전자자품(냉장고, 휴대전화, TV 등)으로 100% 재활용 처리될 예정이다.

시는 무상 수거 서비스 시행에 앞서 지난해 12월부터 대형 폐가전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종량제봉투 판매소 400여 곳에 공문을 발송해 폐가전 배출 시 스티커 판매를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박승원 시장은 "2월 1일부터 시범으로 공동주택에 맞춤형 수거 서비스를 추진해 시민들도 편리해한다"며 "단독·연립주택까지 서비스를 확대하는 만큼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행정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명=김영훈 기자 yhkim@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