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탤런트가 드라마 ‘대조영’을 촬영하다 중상을 입었다는 기사를 접했다. 정규 교과과정에서의 역사교육이 부실해져 간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가고 있는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TV에서는 고구려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 ‘주몽’과 ‘연개소문’이 동시에 방영되고 곧 이어 발해 건국의 주역인 대조영까지 방영될 것 같으니 이제는 역사 공부를 TV사극을 통해서도 할 수 있겠다라는 착각마저 들게 한다.

그런데 이 시기에 고구려의 무대였던 만주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가 셋씩이나 방영되는 까닭에 대해서는 다소 궁금증을 유발케 한다. 각기 다른 방송사가 독자적으로 기획한 역사극이 우연하게 중첩된 현상인지, 아니면 중국의 ‘동북공정’의 허구성을 좀 더 대중화하기 위한 기획으로 방송사가 의도적으로 담합(?)한 결과인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현재 중국의 고구려사에 대한 역사조작 작업을 생각하면 아무래도 후자쪽으로 심증이 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간과할 수 없는 것은 비록 방송사의 의도라 하더라도 이들 드라마의 방영은 곧 고구려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만든 결과이며, 고구려 영토에 대한 재인식과 한민족의 우월성을 다시 한 번 과시하고픈 시대적 요청이 표출된 것이라는 데에 있다. 만주와 한반도는 고대 이래 우리의 영역이었고 역사였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간 무수히 많은 역사극을 ‘자의반 타의반’으로 접해 왔다. 근자만 보더라도 ‘왕건’, ‘장보고’, ‘이순신’ 등과 같이 전 국민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사극이 있었고 이들을 통해 한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으로서의 야망과 충절, 고뇌와 결단, 그리고 좌절까지도 보았다. 역사에 대한 관심이 결코 적지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이고, 나아가 우리 역사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된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한편의 탄탄한 사극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기록속의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상상력이 동원되어야 한다. 아마도 남아있는 기록이 적으면 적을수록 작가의 상상은 더욱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기록 외곽에 산재해 있는 미확인된 사실들까지도 마치 실제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처럼 생동감을 갖게 하기 위해 엄청난 각고의 노력이 수반될 것이다. 더욱이 픽션을 조합해 역사적 사실로 다듬어 가는 작업은 어느 정도 역사적 안목과 이해를 가진 작가들이 아니면 넘볼 수 없는 경지라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역사를 전공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공통적으로 느끼는 두려움은 극의 전개와 역사적 사실 사이에서 오는 괴리감이다. 대하드라마가 어떠한 목적을 가졌든 그것은 어디까지나 상업성을 동반하는 드라마로서 역사적 사실보다는 재미와 인기몰이가 우선일 수밖에 없다. 학습되지 않은 역사는 흥미에 휘말려서 감정에 치우쳐 버릴 수 있고, 왜곡된 역사라고 부르짖더라도 무덤덤해 질 수 있으며, 극화된 역사는 그저 단순한 호기심으로 치우쳐 버릴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역사적인 기본 토대는 변할 수 없는 사실로 남아 있다. 고조선이 한(漢)나라에 멸망한 이후,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 출현하는 한국사상 두번째 고대국가인 부여(북부여)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동부여(두만강 일대), 주몽의 졸본부여(고구려), 그리고 훗날 부여의 웅지를 계승하려는 백제의 남부여(현재 충청남도의 ‘부여’) 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요청되기도 하고, 한족(漢族)에 대항하는 우리 민족의 끊임없는 저항정신도 강조할 필요가 있다.

TV 사극의 특성상 역사적 사실과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겠지만, 적어도 공중파의 위력 때문에 초래되는 역사적 사실의 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그 차이를 좁혀줄 수 있는 역사적 해설이 좀 더 보완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시청자의 입장에서도 시대적 배경이나 주변 정황에 대한 역사적 이해가 선행되면 사극을 보는 즐거움이 배가 될 것이므로, TV 사극의 내용과 역사의 실제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흔한 인터넷 검색이라도 하면서 즐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