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
  
주민직선제로 치러진 서울시 교육감 선거에서 당선된 공정택 교육감이 학원 원장들에게서 선거자금을 빌리고, 자사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모 금융지주회사 회장에게서 격려금을 받은 외에도 급식업체 대표한테 후원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 무분별하게 선거자금을 수수했다는 도덕적 비난이 일고, 일각에서는 사퇴론까지 대두되면서 교육감 선거 제도의 전면 재검토 주장마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교육행정의 수장인 교육감들과 관련해 불미스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어 이 같은 주장들이 더욱 기세를 올리고 있다. 최근 경북도 교육감이 뇌물수수혐의로 사직서를 제출한 데 이어 충남도 교육감도 인사청탁성 뇌물수수와 교직원에게 선거개입을 지시한 혐의 등으로 수사를 받아오다 사퇴했다. 교육 수장들의 이 같은 행태는 교육현장을 불안케 하고 그 여파가 일선 학교에까지 미치는 만큼 교육당국은 물론이고 교육계 전체가 새삼 경각심을 갖고 이러한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대처해야 할 것이다. 가장 도덕성이 요구되는 교육계가 정치권처럼 혼탁해서야 국가의 앞날이 밝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서울시 교육감 사건을 계기로, 교육계는 물론이고 교육계에 줄을 대고 있는 학원이나 급식업체 등이 비리를 저지르지 않도록 구조적인 차단을 위한 진단과 대책 역시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 또한 10%대 중반에 불과한 투표율을 기록하고 있는 교육감 직선제 자체의 문제점도 차제에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직선제에 따른 엄청난 선거비용 때문에 무리한 일들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높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투표율은 낮고 부작용까지 심한 마당이니 개선점을 찾아 시정하는 것이 마땅해 보인다. 내년 4월에 치러질 경기도 교육감 선거도 엄청난 선거비용 때문에 지방의회가 제동을 걸기까지 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시·도 교육감 선거에 대한 총체적인 진단과 구조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번 서울시 교육감 사건이 벌어진 배경 역시 구조적인 문제가 원인이기는 하나 유권자들의 무관심도 한 몫 거들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낮은 투표율을 기록해 대표성 논란으로까지 이어진 원인 역시 유권자의 무관심 탓이다. 이제 교육계는 유권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공교육에 대한 불신을 해소해 다시는 이 같은 사태를 초래하지 않도록 스스로 되돌아 보고 깊이 반성해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