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언 인천대학교 레닌피크 원정대 대원

필자 = 김동언 인천대학교 레닌피크 원정대 대원

- 2004년 12월 남미 최고봉 아콩카구아 등정(6천962m)
- 2005년 7월 아프리카 최고봉 킬리만자로 등정(5천895m)
- 2006년 7월 중국 민산산맥 최고봉 슈에바오딩 등정(5천588m)
- 2006년 8월 오세아니아 최고봉 호주 코지어스코 등정(2천228m)
- 2007년 8월 중국 티베트 치즈봉 등반(6천201m)
- 2007년 12월 남극 최고봉 빈슨매시프 등정(4천789m)
- 2008년 7월 키르기스스탄 레닌피크 등정(7천134m)
- 2009년 5월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등정(8천848m)

원정대원
김학수 원정대장(인천대학교 재료공학과 95학번)
김동언 대원(인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01학번)
김종호 대원(인천대학교 경영학과 01학번)
전동우 대원(인천대학교 무역학과 05학번)
이  슬 대원(인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06학번)

감수 = 박정동 인천대 중국학연구소 소장

 # 다시 한 번 체력의 한계를 느끼다

캠프1을 향해 베이스 캠프 출발 준비를 한다. 캠프1을 향해 가는데 갑자기 비와 우박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3천600m에서 비가 올 줄이야!! 우리들은 물에 빠진 생쥐 모양으로 다시 베이스 캠프로 향했다. 어찌나 추운지 손에 동상 걸리는 줄 알았다. 이런 조건에서는 저체온증에 걸리기 쉬웠다. 너무 추워서 베이스 캠프까지 가지 못하고 중간의 다른 대행사 사이트에 가서 쉬었다. 차를 마시며 현지인에게 이곳 등반 정보도 묻고 오늘 같은 날씨가 자주 있는지도 물었다. 현지인도 등반 시즌에만 이곳에 와서 등반객들에게 차를 팔고 숙소를 제공하지만 자신도 날씨는 잘 모르겠다고 한다.

   
 

어쩔 수 없이 베이스 캠프로 돌아와 다음 날 다시 출발했다. 날씨가 흐려 비가 올 것에 대비해 배낭커버를 씌우고 운행을 시작했다. 처음 평지를 걷는 것은 모두가 상태가 좋아보였다. 하지만 가파른 오르막길을 만나자 슬이 대원이 뒤처지기 시작했다. 오르막의 상단에 올라와서 아래를 보니 다른 포터가 슬이 대원의 배낭을 지고 올라오고 있었다. 너무 화가 났다. 힘든 건 사실이지만 자기의 배낭을 남에게 맡긴다는 것은 자존심을 크게 상하게 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 내 배낭을 내려놓고 다시 아래로 내려가 포터에게서 슬이의 배낭을 받아 매우 미안하고 고맙다는 인사를 했다. 역시 슬이에게도 핀잔을 줬지만 이 녀석은 그냥 흘려듣는 건지 성격이 좋은 건지 금세 아랑곳하지 않고 쉴 만한 곳에 오자 생글 웃기 시작한다.
잠시 휴식을 갖는데 주변의 포터들이 이 짐을 갖고 등반하는 것은 무리라고 한다. 여기에 동우 대원도 짐을 맡기고 가자고 떼를 쓴다. 처음에는 안 된다고 했지만 처음 일정부터 체력을 소비하는 것은 앞으로 남은 일정을 소화하기에 부담이 갈 것 같아 슬이와 동우의 배낭을 말에 실어 보냈다.
이곳에 오기 전 우리 훈련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했고 낮은 수준의 체력으로 이곳에 온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런 사실로 왔기 때문에 그에 대한 해결책도 여기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이 든다. 동우는 학수 대원의 배낭을 메고 슬과 학수 대원은 빈몸으로 다시 캠프1을 향해 출발했다.
기나긴 흙비탈 사면을 따라 가는데 이제는 종호 대원이 힘들어한다. 그래서 종호와 동우의 배낭을 바꿔서 운행을 시작했다. 이때부터 동우는 걸음이 급격히 느려졌고 나와 뒤 대원들의 차이 또한 나기 시작했다. 나는 먼저 캠프에 도착해 카고들을 정리할 요량으로 계속해 캠프1을 향해 갔다. 지겨운 길 끝에 저 멀리 캠프1이 보인다. 근데 2개가 있다. 한쪽은 베이스와 가까운 쪽에 있고 한쪽은 그곳에서 30분 정도를 더 가야지 나올 것 같았다. 나는 제발 가까운 곳이 우리의 캠프이기를 바랐지만 찾아가보니 우리의 캠프는 저 위로 더 가야 한다고 한다.
다시 발을 돌려 위의 캠프로 향하고 있는데 헝가리인들을 만났다. 베이스에 짐을 데포하고 다시 내려간다는 것이다. 지금 시각은 오후 5시 반. 좀 늦은 것 같았지만 워낙 반가워 5분 정도 수다를 떨었다. 그리고 내려가면서 우리 팀을 만나면 우리의 캠프가 더 올라와야 한다는 것을 알려 달라고 부탁하고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고 헤어졌다. 원래의 짐들은 우리 캠프에 알맞게 도착했는데 중간에 맡긴 배낭은 다른 캠프지에

   
 
가 있었다. 그래서 그 짐을 옮기고 말 포터와 함께 사진도 찍고 서로 다른 언어를 쓰면서 친분을 쌓으며 팀들을 기다렸다. 내가 도착한 뒤 2시간이 지나서야 올라오는 것이 보인다. 가볍게 짐만 정리하고 저녁을 먹은 뒤 각자의 텐트로 들어가 고단한 하루를 마무리했다.

 # 크레바스와 싸우며 도착한 캠프2

캠프2로 향하는 길은 우리에게 두려움을 줬다. 곳곳에 설치돼 있다는 크레바스는 우리 모두에게 첫 번째 경험이었다. 빙설지대 위를 걷다가 본격적인 경사가 시작되는 구간에서 크램폰을 착용했다. 날씨가 매우 좋아 많은 사람들이 등반을 시작한다. 먼저 올라간 사람들도 다시 내려오고 시즌 첫 정상 등반을 마친 팀들도 내려오고 좁은 길에서 매우 복잡하다.
크레바스는 처음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매우 많고 위험해 보였다. 점프를 뛰어야 건널 수 있는 크레바스도 있고 밑이 까마득한 크레바스를 옆에 끼고 걸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곳을 이 많은 사람들이 다니는데 무너지지 않는 걸 보면 다행이구나라는 생각과 여태까지 괜찮았으니 이제부터가 더 위험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기도 했다. 역시 우리는 느린 운행과 잦은 휴식으로 가장 뒤늦게 처지기 시작했다.
서로 안자일렌을 했기 때문에 모두가 같은 속도이지만 맨 앞에 있는 나는 조금 더 빨리 가기를 원했지만 그럴 때면 어김없이 처지는 다른 대원들이 보인다. 올라가도 끝이 보이지가 않는다. 오르막 구간을 다 오르고 옆으로 트레버스하는 구간이 있는데 이제야 저 멀리 알록달록 색상의 텐트들이 보인다. 캠프2였다. 캠프지라기보다는 경사진 곳에 사람들이 자리를 깎아 만든 곳이었다. 그나마 눈사태의 위험이 없어 보이는 곳이다. 캠프2 직전까지도 크레바스들이 그 위용을 숨긴 채 살짝만 얼굴을 내민 듯하다. 크레바스 탈출 훈련을 하지 않은 우리는 서로 자일을 달고는 있지만 빠지지 않기를 기도하는 수밖에 없었다.
많은 원정대들이 일찌감치 캠프를 구축하고 있었다. 그래서 자리가 없었지만 1시간의 작업을 거쳐 우리만의 보금자리를 만들었다. 모두가 지쳐서 저녁도 안 먹고 차만 마신 채 잠을 청했다.

 # 둘로 나뉘어진 팀 그리고 뒤바뀐 운명

캠프2를 올라오면서 너무 많은 체력을 소진했다. 하룻밤을 보냈지만 오전까지도 소비한 체력을 회복

   
 
한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우리는 회의 끝에 그나마 체력이 좋은 나와 김종호 대원은 캠프1로 내려가서 앞으로 더 필요한 식량과 장비들을 가져오고 학수 대원과 동우 대원은 현재 가지고 있는 최소한의 식량과 장비를 캠프3로 올리기로 했다. 그렇게 우리는 서로 다른 길을 향했다. 나와 종호가 캠프1에 내려오니 대구·경북 학생산악연맹에서 원정대가 와 있었다. 같은 한국 원정대를 만나니 매우 반갑고 금방 친해질 수 있었다. 먼저 등반을 시작한 우리에게 수고했다며 라면을 끓여주고 저녁에는 삼계탕을 직접 만들어 줬다. <계속>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