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실 해양소년단 인천연맹장(전 인천시교위 의장)

사회가 발전하고 점차 개인별 편의주의가 만연한 오늘의 교육현장에서 교사도 그렇게 생각하고,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 되었다. 교사도 귀찮은 일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

 하지만 이제까지 대부분의 교사는 심한 질책과 심지어 가벼운 처벌을 해서라도 아직 제대로 다듬어지지 않은 어린 학생들을 포기하지 않고 가르치려고 아침부터 저녁 늦게까지 학생이 있는 곳에서 같이 지내며 개인적인 사생활보다 학생지도에 열정을 다했다.

그러나 요즘 버릇없고 이기적이고 가정에서부터 자기중심적이며 책임감 없는 어린 학생들을 엄격하게 지도하면 교육 상부기관과 학교 주변 교육관련 단체를 비롯해 언론매체로부터 심하게 지적당하고, 학부모에게 왜 내 아이만 갖고 그러느냐는 항의성 전화를 받는다고 교사들은 넋두리를 하곤 한다.

지금 자라나는 학생들을 망치는 사람은 사랑의 질책과 심지어 체벌을 해서라도 가르쳐 보겠다는 교사가 아니라 학생들은 학생들 대로 못 본 척 편하게 지내고 무관심으로 대하는 교사와 그렇게 교직사회를 만드는 일부 교원노동단체라고 말하며 대부분의 교사가 생활지도를 포기한다고 한다.

지금 교실현장은 보이지 않는 전쟁 중이다. 저출산으로 자녀가 한두 명인 가정의 왕자와 공주인 이 시대의 철부지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어려움이 얼마나 힘들고 큰지를 모른다. 철없는 아이들은 매일같이 전쟁터 같은 교실에서 통제할 수 없는 벼랑으로 간다고 한다.

교사는 사랑의 질책과 강제적으로 보여질 수도 있는 교사의 지도력으로 교실을 올바르게 끌고 갈 수 있어야 한다.

물론 학생들의 개성과 개인별 차이를 인정하고 그들 스스로 개인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교사의 몫이지만 우리 사회의 일부 정치권과 이기적인 교원노동단체는 너무나도 조심성 없고 성급하게 학생교육에 인권을 들이대고 있다.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는 일반 시민사회에서와 같이 무조건인 평등을 들이댈 수는 없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는 평등을 끌어들이고 행동의 자유와 보편적인 인권을 말할 수 없는 가정 윤리 도덕성이 있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학교 안에서도 교사와 학생 사이에 자유와 평등이라는 인권의 논리를 함부로 끌어들이는 어리석음을 범하고 있다. 학생으로서는 해서는 안되는 것, 강제로라도 못하는 것, 그리고 뜻이 있고 보람을 키우기 위해 참고 견디게 하는 것도 하나의 교육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어른이 생각하는 것처럼 저절로 자란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다. 집안에서 부모들이 오냐 오냐 하면서 버릇없이 키우고 학교에 보내면서 그렇게 대해주길 바라면 아이들은 제대로 성장할 수 없다.

장차 우리 학생들은 세계 속에서 능력있고 다양한 젊은이들과 더불어 살아야 한다. 우리 학생들이 성장하면서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세계시민 의식을 갖춘 개척정신과 책임감과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면서 배려할 수 있는 마음가짐과 행동이다.

 이것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어릴 때부터 엄격한 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

교육당국과 학부모가 교사의 권위를 세워줘야 한다. 이제까지 일부 교사의 잘못을 문제삼아 모든 교사에게 교사로서의 역할에 재갈을 물리는 발상은 옳지 않다.

자녀교육의 출발은 스승에 대한 신뢰에서부터 출발한다. 사랑하는 자식을 학교에 보냈으면 교사를 믿고 모든 것을 맡겨야 한다. 그래야 교사가 보람을 갖고 가르칠 수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