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이나 이주노동자 등은 우리와 피부색이나 언어는 다르지만 어느새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 됐다. 하지만 이들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는 여전히 순혈주의에 입각해 터부시하거나 인종차별적 시각이 많다.

그럼에도 이들을 이방인으로 돌려세우기에는 이미 우리 사회의 많은 부분에서 동화되고 있고 중요한 축이 됐다. 따라서 이들이 우리 사회에 제대로 정착하고 이웃으로 자리잡게 하려면 더 많은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따라서 본보는 창간 25주년을 맞아 우리 사회의 다문화 정책과 그들이 어떻게 적응하고 무엇이 필요한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편집자 주>

#이제는 이웃이다

   
 

서울이 아니라 하더라도 이제는 우리나라 어디에서도 외국인을 쉽게 만날 수 있다. 특히 전국 100만여 명의 등록 외국인 중 서울을 제외한 경인지역에만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 등 등록 외국인 수가 40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통계청은 파악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국제이주가 증가하는 추세에 경제 발전으로 인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져 우리나라가 과거 송출국에서 현재 아시아 지역의 대표적인 이주 목적국이 됐기 때문이다.

경인지역에 살고 있는 외국인들은 크게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들어온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 등으로 분류되며, 이들 중 일부는 정식으로 등록치 않고 저마다의 사정으로 불법체류하는 것까지 감안하면 파악되는 수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결혼이주는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기 시작, 1990년 불과 4천710건이던 국제결혼이 2000년 1만2천319건, 2009년 3만3천300여 건에 이르는 등 최근 10여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자녀들의 수도 2010년 6월 현재 1만9천719명(15세 미만 기준)으로 이들은 더 이상 국내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 아닌, 각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이들 상당수가 문화·언어적 차이로 한국생활 적응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자녀들 또한 언어나 정체성의 혼란, 사회적 편견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이 현실이다.

#다문화 지원정책, 그러나…
다문화 가족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민간단체 등이 이미 이들을 위한 수많은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쉽게는 통·번역 서비스부터 한국어교육, 부모교육, 출산, 직업교육에서 취업 지원에 이르기까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경인지역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건강검진, 다문화 가정 어린이들을 위한 DMZ 체험여행, 국제특송우편물 할인 정책, 무료 법률지원제도 등 철저히 다문화 가정에 필요한 세심한 생활정책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 자국 출신 지도사가 가정을 직접 방문, IT정보화교육을 펼치고 있으며 오케스트라 꿈나누기, 해피맘 프로젝트 등 다문화 가정 어린이와 결혼이민여성을 위해 간과하기 쉬운 부분까지 배려하는 프로그램을 발굴해 진행 중이다.

특히 인천지역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이 우리 사회에 적응하기 쉽고 자존감을 주기에 가장 적합한 통역도우미를 양성하고 외국인 간 정보 교환을 위한 다문화 가족 생활정보신문을 발간하는 등 이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은 이러한 노력에도 만족감을 충분하게 느끼지 못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게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의 지적이다.

가정은 한 가족이 모여 생활하는 곳이자 가까운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생활공동체로, 이들을 위한 정책에는 외국인 노동자 또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교육 외에도 이들과 결혼해 가정을 꾸리는 배우자 등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

인천시 계양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계자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은 전문가인 나조차도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고 분야가 다양하다”면서도 “대부분 외국인 중심의 교육으로 이뤄져 다문화 가정이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라고 귀띔했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해결책 필요
다문화 가정이 건강한 이 사회의 일원으로 흡수되기까지는 가족구성원 모두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 상당수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밤낮으로 일하는 등 교육과 지원에 할애할 시간을 갖지 못한다는 점도 고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 결혼이주여성의 내국인 배우자와 그 자녀까지 모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우리 사회에 적응시키기 전에 해당 가정이 우선 안정을 찾고 신뢰 속에 가정을 꾸려 나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