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화재단은 지난 2004년 시민의 뜻을 모아 탄생한 비영리 문화공익법인이다. 재단의 지난 9년여 행보를 지켜봐온 지역문화계는 최근 4대 대표이사 인선에 주목하고 있다.

그간 줄기차게 요구해온 ‘지역문화계와의 격의 없는 소통’과 시 행정에서 홀대받고 있는 ‘문화계의 위치 재정립’ 등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대표상을 원하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도 재단의 예술지원사업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어온 인천예총은 문화재단이 적극적으로 지역문화계 의견에 귀를 기울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김학균 인천예총 국악회관장은 “독자적인 기획에 치우치지 말고 지역의 문화예술인들과 교감하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며 “새로운 대표는 재단이 문화예술의 높고 낮음을 가르는 등 양극화를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신중히 고민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지역 문화활동가인 민운기 스페이스빔 대표 또한 시민사회와의 소통을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꼽았다. 그는 “공공성을 담보하는 문화지원 사업을 하고 있음에도 정책의 중요사안을 결정하는데 있어 통보하는 형태가 반복되고 있다”며 문화예술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인천문화재단의 재정난과 무관하지 않은 인천시의 문화계 홀대도 지역문화계의 관심사 중 하나다. 시의 2014년 문화분야 예산은 총액대비 0.25%인 184억 원으로 문화계 예산은 해마다 큰 폭으로 줄고 있다.

고창수 인천민예총 이사장은 “시의 예산 배정을 놓고 보면 문화예술은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이라는 인식이 팽배한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재단이 나서 문화예술의 필요성과 지역 문화인들의 요구를 인천시에 강력히 요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1천억 원이 넘는 적립기금으로 운영되던 서울·경기문화재단조차 최근 재정난으로 수익사업에 매달리고 있는 상황에 비춰 인천문화재단의 재정 설계를 근본적으로 새로이 해야 한다는 주장도 눈에 띈다.

지역문화계 인사는 “기본적으로 재단 조직 자체가 현 상황을 절감하고 수익사업 모델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라며 “시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는 현 재정상황을 타파할 예산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해 재단은 오는 28일 문화계인사들이 참여하는 예산정책 토론회를 열고 현 상황에 대한 문제인식 공유와 기부금 등 다양한 방식의 재원확충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