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항공정비(MRO)산업 사업지 선정을 두고 말들이 많다. 정부의 우유부단한 정책 추진 때문에 사업지 유치전이 지역 간 대립으로 번지고 있어서다.

실제 정부는 4·13 총선을 앞두고 MRO단지 지정을 미뤄 왔다. 선거 전 선정지를 발표할 경우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현재 항공업계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와 경상남도 사천시 등 2곳 중 1곳이 선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항공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인천공항이 배제된 정부의 이 같은 정책에 대해 항공업계의 우려가 크다.

특히나 인천공항은 4단계 사업 확장 사업을 모두 마치면 연간 여객인원은 1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본보는 MRO산업에 대해 2회에 걸쳐 짚어 본다. <편집자 주>

충북과 경남이 MRO산업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2025년까지 4조 원의 국내 MRO시장을 선점할 수 있어서다. 이 때문에 유치전은 해당 지역에서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지역 도지사와 민간경제단체에서 MRO 유치를 위해 적극적이다. 여기에 4·13 총선에서 MRO 유치를 공약으로 내세운 후보들이 당선되면서 유치전은 정치권으로 옮겨붙고 있다.

문제는 MRO 선정지 지정을 앞두고 지역 간 대립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갈등의 중심에는 국토교통부가 있다. 국토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이 갈등의 가장 큰 이유다. 국토부는 2009년 인천공항 서북단 제2국제업무지구 인근에 100만여㎡ 부지를 항공정비특화단지로 고시한 바 있다. 당시까지만 해도 국토부는 인천공항 내 MRO단지 조성정책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제1차 항공정책기본계획’이 나오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지방공항의 적자가 늘어나면서다. 이때 국토부는 청주공항을 단독 ‘항공정비시범단지’로 선정·발표했다. 그러나 이후 전문 MRO업체가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지자체와 협의하면 부지 등을 지원키로 했다.

국토부의 정책 변화에 지자체들은 너도나도 MRO산업에 뛰어들었다. 사천이 MRO에 뛰어들었고, 전남 무안까지 가세했다. 사천은 군수산업의 이점을 내세우고, 무안은 중국·일본 등과 최단거리임을 앞세워 소형항공기 MRO산업 유치에 나섰다. 이렇다 보니 국토부가 내놓은 MRO단지 건설은 지역 갈등에 치여 2년째 멈춰 섰다. 이러는 동안 연간 1조3천억 원의 국내 MRO 비용은 해외로 빠져나갔다.

인천공항에 취항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의 사정은 더 심각하다. 인천공항 전체 여객기 중 LCC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1.3%에서 지난해는 15%를 넘어서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국내 LCC들은 자체 정비 능력이 없어 한 해 해외 MRO업체에 지불하는 비용이 7천560억 원(2014년 기준)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항공사와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전문 MRO 합자법인 설립 및 신규 MRO 단지 조성을 검토 중이나 외국 기업에 대한 규제와 정비시설 구축 등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 안정적 수요 확보의 어려움으로 사업이 지연된다"며 "(MRO업체 육성 및 클러스터화에)항공사, 항공기 제작업체, 정비업체 등의 합자법인 설립을 유도하고 투자수요 및 기술력 확보에 맞춰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재균 기자 a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