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항공정비(MRO)산업 육성을 위한 독자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대규모 투자유치를 통해 인천공항 경쟁력을 높이자는 취지다. 정부의 항공정비산업단지 지정에서 인천이 사실상 소외되면서 이 같은 얘기가 지역에서 힘을 얻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인천공항에 100만여㎡의 항공정비 특화단지를 2009년 고시했다. 충북 청주시의 47만㎡와 경북 사천시 16만㎡보다 입지 여건상 인천공항이 월등히 앞선다. 공항이 자리한 인천 역시 관련 산업의 토대가 잘 갖춰져 있다. 인천의 뿌리산업과 밀접히 연결돼 있어서다.

여기에 전 세계 54개 국가에서 83개 항공사가 인천공항에 취항해 있다. 2020년에는 취항 항공사가 110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MRO 수요 충분조건을 갖췄다는 얘기다.

특히 인천공항에서 항공정비로 인한 기체 장비 결항률은 2010년 8.3%에서 2015년 26%로 늘었다. 5년 새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인천공항 MRO단지 조성이 시급하다는 뜻이다.

업계에서는 그래서 입지가 좋은 인천을 눈여겨보고 있다. 인천공항이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매력이다. 법인·소득세(5년), 취득·재산세(15년), 관세(5년) 등 각종 세제 감면 혜택이 있다. 조건에 따라서는 부지 무상 임대도 가능하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인 한국지엠㈜이 대표적인 사례다. 한국지엠에겐 이미 지역에 있는 부지를 50년간 무상 임대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업계는 인천공항을 배제한 정부의 MRO산업 육성정책에 걱정이 많다. 인천을 소외시킨 MRO산업 육성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청주나 사천 등에 MRO단지를 조성할 경우 항공사들은 인천공항에서 다시 해당 지역으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국내 대부분의 항공기가 인천공항에 들어와 또다시 정비를 위해 이들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인천공항과 동북아 허브공항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싱가포르 창이공항과 중국 베이징공항에는 MRO단지가 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인천공항 경쟁력을 높이는 MRO산업 추진을 위해선 대규모 투자유치 동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타깃으로 중국을 겨냥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 공항에는 MRO정비센터가 없어서다. 이 중 인천공항을 오가는 중국 항공사만 14개에 이른다. 이 때문에 ‘차이나 머니’를 통해 인천공항 MRO산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일부 항공전문가들은 중국 항공사들과 접촉을 갖고 있는 상태다.

지역 항공업계 관계자는 "인천공항에는 이미 대한항공엔진정비센터와 LCC 정비를 위한 ㈜JS에비에이션 정비 격납고 등에서 항공 정비가 이뤄지고 있어 MRO산업단지 지정 의미는 없다"며 "중정비(엔진 정비)와 항공부품 정비 등 광범위한 항공산업을 위한 대규모 투자유치를 통해 항공산업을 인천이 주도해야 한다"고 전했다.

안재균 기자 a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