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은 사진 한 장의 힘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신문 사진에서 그것을 확인시켜 주는 일은 그리 많지 않다. 며칠 전 검찰 조사받던 중에 찍힌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사진이 그 ‘한 장의 힘’을 보여줬다. 카메라에 포착된 우 전 수석의 여유 있는 모습은 많은 사람들을 공분케 했다.

이 사진은 검찰에 소환될 때 질문하는 기자를 째려보던 우 전 수석의 사진과 오버랩되며 한층 더 화를 돋웠다. 창문 안은 그들만의 1% 세상인 듯 보였고 사진을 통해 이를 바라보게 된 창 밖 99%는 모멸감을 떠안아야 했다. 이 황제조사 사진은 조선일보 사진기자의 집중과 끈기로 이뤄낸 특종이다. 많은 언론사 사진기자들이 이 한 장의 사진에 물을 먹었다.

이 한 장의 사진은 신문과 방송, SNS 등에 도배되다시피 했고 심지어 ‘오마이뉴스’가 조선일보 기자를 인터뷰하는 재미난 일도 벌어졌다. 앞으로도 검찰 수사와 관련해 두고두고 인용될 사진으로 남을 것이다.

 재미있는 건 소위 특종사진은 ‘창 너머로 찍힌다’는 공식을 또 한 번 확인한 것이다. 무기 로비스트 ‘린다 김(서울신문, 2000)’ 사진, ‘병실 밖 내다보는 전두환 전 대통령(중앙일보, 1996)’ 사진도 오랜 뻗치기 중에 창문 안을 찍어 얻은 특종이다. 최근에는 ‘잠옷 입고 TV 보는 이완구 전 총리’ 모습과 ‘병상에 누운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사진 역시 초망원 렌즈를 장착해 유리창을 통해 찍어 큰 반향을 일으킨 사진들이다.

하지만 황제조사 사진이 기존의 ‘창 너머 특종’과 다른 것은 주요 인물을 보여준 것에 머물지 않고 짐작은 하되 드러내기 어려운 관계를 증거처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권력이라는 것이 어떤 식으로 관계 맺고 작동하고 있는 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검찰이 우 전 수석을 제대로 수사할 수 있을까 라는 의구심에 ‘그럴 수 없겠구나’하는 강한 확신을 갖게 만든다. 어디 높은 곳에서 검찰청을 바라봐야 유리창을 통해 조사 장면을 찍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사진기자면 누구나 하게 된다. 하지만 생각이 곧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포착 확률이 미미하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시도조차 하지 않았으니 포착 확률은 그냥 제로인 셈이다. 머리에서 발까지의 거리가 참 멀다는 생각이다. 그 거리를 자주 극복하는 것이 좋은 사진기자의 덕목이고 나에겐 가장 큰 숙제인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