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올해보다 낮은 2.3% 내외에 그치면서 3년 연속 2%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01.jpg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가결 이후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함께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하방위험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됐다.

 수출은 올해보다 다소 나아지겠지만 과거와 같은 높은 증가세는 쉽지 않고, 각종 정책 종료로 소비부진이 이어지면서 내수 역시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관련 경제 분야의 주요 연구소 수장들을 대상으로 내년도 한국 경제 전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준경 원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 한국금융연구원 신성환 원장, 산업연구원 유병규 원장,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현대경제연구원 강인수 원장, 한국경제학회 조장옥 회장 등 국내 대표 연구기관장이 모두 응했다.

 18일 설문결과를 정리해 보면 이들 연구기관장이 예측한 내년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2.3%에 그쳤다.

 김준경 KDI 원장은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소폭 낮은 2.4%로 예상하고 있다"며 "미국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확대됐고 대내적으로는 소비 및 건설투자 증가세가 축소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정택 KIEP 원장은 "미국 신 행정부 재정정책 여파로 금리가 급등할 우려가 있고 미·중 간 통상 및 환율 마찰로 인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발생할 경우 내수·수출이 동시에 더 위축될 수 있다"며 "내년 2.5% 전후의 성장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유병규 산업연구원장은 "국내 정치사회 불안정으로 투자와 소비 급감, 부동산 경기 급락 등이 예상되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주의 강화로 국내 수출 부진 심화와 세계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며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2.5%를 제시했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내년 우리 경제가 2.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1.JPG
 신성환 금융연구원장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2.5%를 내놓으면서 "미국의 재정 및 통화정책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내년 4월 전망 때 전망치를 수정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장은 2.3%의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하면서 "내년까지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질 경우 하향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는 하방위험 확대 시 2%대 초반의 성장률마저 장담하기 쉽지 않다는 뜻이다.

 조장옥 한국경제학회장은 올해 우리 경제가 2% 내외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내년에도 올해보다 나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해 1%대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을 시사했다.

 설문에 참여한 경제연구원장들은 공통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방향과 미국 경제의 성장세, 중국 경제의 구조변화 및 경기하강 속도 등을 내년 한국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대외변수로 꼽았다.

 이들은 지난해부터 부진을 이어오고 있는 우리 경제의 수출이 과거와 같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기 어렵고, 내수 역시 민간소비의 부진으로 경기를 이끌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준경 원장은 "향후 수출은 유가하락 영향이 소멸되면서 금액기준으로는 플러스 전환되겠지만 가격변동 요인을 제외한 물량기준으로는 미국과 중국, 유로존 등의 불확실성으로 증가세가 확대되기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신성환 원장은 "내년 수출은 올해보다는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미국의 보호주의 강화로 크게 호전될 것 같지는 않다"고 전망했다.

 내년 정부의 경제정책이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에 대해 유병규 원장은 "경기불안 요인을 해소하는 위험관리방안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경기 활성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인수 원장은 "현실적으로 새로운 정책을 추진하기는 어렵다"면서 "서비스산업 육성, 산업구조조정 가시화, 노동시장 개혁, 가계부채 문제 완화 등 기존 정책들이 잘 마무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권태신 원장 역시 "현재 추진 중인 4대 부문 개혁은 장기 저성장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한 출발점으로 다음 정부에서도 추진될 수 있도록 마무리에 신경 써야 할 시점"이라며 "가장 방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서비스산업 활성화와 노동시장 개혁"이라고 지적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