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환사회부장(컬).jpg
▲ 박정환 사회부장
‘인천 앞바다에 정녕 수산(水産)은 있는가?’ 해를 더할수록 점점 기승하는 의문 중의 하나다. ‘인천을 과연 해양도시라고 할 수 있을까?’ 시간이 쌓일수록 말꼬리가 흐려지는 답변 중 한 가지다.

 2015년 9월 바다를 얘기하고, 해양을 논하기조차 창피한 일이 인천의 섬에서 터졌다. 인천 앞바다를 농락한 외지인들은 사법처리됐지만, 해양도시로 치장한 인천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준 수모였다.

 옹진군 자월면 승봉도와 대이작, 소이작 등지의 키조개 양식장(마을 어장)을 3년간 통째로 빌린 외지인들이 실컷 키조개를 캔 뒤 시장에 내다 팔았다. 이 외지인들은 웃돈을 얹혀 양식장을 잠수부가 낀 외지인들에게 또다시 전대했다. 이들이 3개 섬 키조개 양식장에서 올린 매출은 장부상으로 한 해 21억 원에 달했다.

 수산업법을 어기면서까지 양식장을 임대한 현지 어촌계의 수익은 고작 3년 동안 1억1천만 원이었다. 그나마 대이작도의 경우 어촌 계원 수중으로는 한 푼도 돌아가지 않았다.

 뒷골이 당기는 일은 이게 다가 아니었다. 외지인들은 양식장에서 캔 키조개를 망째 시차를 두고 도로 양식장에 집어 넣고 사진까지 찍었다. 수산자원 조성사업을 시늉 낸 눈속임이었다. 수산자원 조성사업을 하면 금어기인 7~8월에도 키조개를 채취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한 해 100억 원 가까운 인천시와 옹진군의 수산자원 조성사업은 외지인의 배만 불리는 꼴이었다.

 어설픈 수산정책의 단면은 또 있다. 경인아라뱃길 수산물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이다. 중국어선 불법조업으로 피해 받고 있는 서해5도 어민 지원사업이다. 서해5도에서 나는 수산물을 실어다가 이곳에서 팔아 어민소득을 늘릴 요량이었다.

 최계운 인천대 교수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으로 있을 당시 공사 출자회사인 ㈜워터웨이플러스와 옹진수협 등이 컨소시엄을 이뤄 해양수산부의 공모사업에 참여해 사업자로 선정됐다.

 수산물복합문화센터 건립비 62억5천만 원 중 국비 50억 원을 지원받았다. 정부와 지역 정치인은 서해5도 어민 지원을 위한 ‘신기원’을 일궈낸 양 호들갑을 떨었다.

 2년이 지난 지금, 수산물복합문화센터는 아무 가동의 흔적이 없다. 서해5도의 수산물을 산 채로 아라뱃길로 실어 나를 방도를 찾지 못하고 있다. 수산물의 운반을 맡기로 한 옹진수협도 거의 포기 상태다. 애초 현지 사전조사나 실현가능성에 대한 검토 없이 밀실에서 추진한 결과였다.

 최근 어업 손실 조사 기관 선정을 놓고 인천 앞바다가 시끄럽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처럼 아슬아슬하다. 해수부 지정 인천지역 조사기관은 인천 앞바다에서 기를 못 쓰고 있다. 대신 외지 기관들이 휘젓고 있다.

 지연과 학연을 연결고리로 하는 카르텔의 모양새다. 조사기관 선정을 대가로 대행기관에 입김을 행사하는 어민대표들과 뒷거래가 성행하고 있다는 의혹이 무성하다. 손실액 감정평가 기관 선정 역시 어민대표와의 커넥션이 깔려 있다는 소문도 심상치 않게 들리고 있다. 보상을 노린 가짜 어민을 받아들이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는 어민단체의 추문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인천신항 증심과 영흥화력 온배수, 수도권매립지 침출수 등을 고리로 한 어업피해 주장의 이면에는 검은 거래가 숨어 있다는 시각도 없지 않다. 수산을 갖고는 먹고 살기 힘든 현실에서 오는 부조리다.

 시는 ‘애인(愛仁)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2025년까지 2조4천억 원을 투입해 보고 싶고, 가고 싶은 섬을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여기서 수산 관련 사업은 연간 21억 원가량 투입되는 어촌마을 활성화가 전부다. 어민들에게 의식주의 토대는 수산이다. 그것 없이는 해양주권도 없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