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효성 소설가기호일보 독자위원.jpg
▲ 신효성 소설가
스위스나 스웨덴 같은 북유럽 국가들을 선망하는 이유가 있다. 복지가 잘 돼 있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안전장치가 보장되는 국가는 인간의 존엄성을 잃지 않고 생을 잘 살아가고 마무리할 수 있어서 동경한다. 권력과 부의 차이로 편견의 시선에 속울음을 우는 국민이 없다는 점이 부럽다. 우리나라도 선량한 복지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본다. 예전보다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사각지대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래도 국가차원이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복지정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만인의 평등은 일정량의 재화를 똑같이 나누는 것은 아닐 터, 개개인에게 가장 필요한 것을 알아서 채워주는 맞춤 복지가 평등이겠다.

후원이라고는 하지만 작은 손길을 보태는 종합복지관에서 이사 모임을 가졌다. 이날 실무자에게 들은 말 중에 ‘공감복지’가 마음에 와 닿았다. 배고픔을 해결하는 일이 생존에서 1순위가 되겠지만 마음의 평화를 보장받을 수 있는 안전한 환경도 순도 높은 복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극한 생존을 살아가는 시대는 아니기에 공감 복지가 잘 돼 있을수록 국민의 행복도는 높아질 것이다. 복지관은 세분화된 형태로 운영이 되고 있다. 합리적일 수도 있고 집중 복지로 세밀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종합복지관은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공동체 개념의 업무를 한다. 한 가정의 결속을 해치는 구성원이 있다면 복합적인 가정 문제 발생 가능성이 높고 세습되는 실제 사례도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한다. 특히 여성이나 미성년, 노인 같이 사회적 약자는 집안에서도 약자로 고통을 받아 세심한 배려로 안전장치를 해 줘야 한다는 말이 이해됐다.

 요즘 주목하는 공감복지는 선진형 복지다. 나누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인간다움을 손상 받지 않도록 헤아려주는 공감복지가 궁극의 복지인 것 같다. 공감 복지를 가장 먼저 들고 나온 지역이 인천이라고 한다. 살벌한 사건사고의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이라서 위축된 시민들에게 자부심과 위로를 주는 복지 정책이다. 쌀 한 포대보다 무료 진료보다 생활비 보조금보다 물질적 혜택은 가벼워도 복지수혜자의 현실에 진정으로 같이 비 맞아주는 공감도 꼭 필요한 복지다. 복지관의 주요 업무를 보면 사회 관리와 서비스 제도와 지역 조직화의 기능이 있다.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일어날 경우에 일대일, 혹은 개인과 가족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면서 전문가의 손길로 실타래를 풀어나가는 사회 관리는 사전에 문제점이나 문제 집단을 인지해 예방 관리하는 일도 중요하다.

서비스 제도 역시 일상적인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 나가면서 위험인자를 줄여가는 일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조직화는 내 이웃의 내재된 복지사각을 파악하고 함께 화합해서 살아가는 방법이다. 주민이 조직화되면 지속적으로 지역의 소외계층을 관리하고 돌봄을 할 수 있다. 동네 슈퍼에서 라면과 소주만 사 가는 주민이 있다면 조직된 주민에게 통보해 이웃으로 접촉을 시작해 볼 수 있다. 마음의 벽을 허물어 거부로 단절된 소통을 이어갈 수도 있는 이웃이라서 전문가의 면담보다 나을 수 있다.

 75개의 단체에서 220여 개의 세부사업을 운영 중이라고 한다. 복지관이 많을수록 전문적인 손길이 많을수록 혜택도 늘어나고 수혜자의 양적 팽창으로 소외계층이 줄어들 수는 있다. 이론과 현실이 어긋나지 않아 양보다는 질적으로 도움 되는 복지를 기대해 본다. 지금 우리 사회는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소외계층이 더 아래로 추락하는 일이 없도록 찾아보고 내 동네에서 돌봄의 마음을 지켜가는 지역민이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마음을 알아주고 함께 아파하는 공감이야말로 우리 시대에 가장 절실히 필요한 궁극의 복지인 것이 분명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