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 우대국가 명단) 제외에 따른 지역 업체 피해가 우려되지만 직접적인 피해업체를 찾기 어려워 대책마련이 쉽지 않다.

5일 인천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일본의 수출통제 가능 물자 1천194개 중 대일의존도와 파급효과, 대체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분류한 159개 품목에 대해 맞춤형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하지만 규제 품목이 대부분 부품 소재여서 피해 업체를 발굴하기가 만만치 않아 맞춤형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인천상의는 통관 때 국제 통일상품 분류체계(HS코드)를 이용해 업체를 파악할 계획이지만 가능성은 미지수다. 제조업체가 직접 수입하는지, 유통회사가 수입해 제조업체로 공급하는지 등 부품소재 이력을 쫓기가 쉽지 않아 일본의 수출 규제로 피해가 예상되는 인천지역 기업들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반도체 업체인 S사는 반도체 후공정(패킹) 업체로 일본의 수출 규제 소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송도국제도시에서 포토레지스트(감광성 재료)를 생산하는 일본기업 T사도 수요업체에 계속 재료를 공급할지 미지수다. 이 업체는 일본에서 소재를 수입해 가공한 후 국내 기업에 공급하고 있지만 수입이 차단될 경우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어서다. 이 때문에 포토레지스트 관련 기술을 개발 중인 K사와 D사는 생산공장을 인천에 둘지 아직 결정되지 않아 인천상의는 현재까지 지역 업체의 피해는 없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일본의 수출 규제가 장기화돼 반도체 생산이 위축될 경우 반도체 관련 지역 협력업체는 직접 피해를 볼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CNC공작기계 세계시장의 80%를 점유(국내 점유율 90%)한 일본 파낙사가 수출을 중단하면 지역 금속가공업체의 피해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탄소섬유(수소차 등)와 실리콘 웨이퍼·이미지센서·메탈마스크·분리막(반도체, 스마트폰, PC )등은 지역 사용업체가 적어 직접적인 피해는 없지만 이들 품목의 수출 규제로 인천 주력 산업인 전자와 자동차 업종의 위축을 가져와 전반적인 경기하강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