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효성 국제PEN한국본부 인천지역부회장
신효성 국제PEN한국본부 인천지역부회장

‘침묵 4′33″’은 존 케이지가 작곡한 피아노를 위한 연주곡이다. 1952년에 뉴욕 우드스탁 타운홀에서 초연될 당시,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튜터는 피아노의 뚜껑을 닫음으로써 연주의 시작을 알렸고 피아노 뚜껑을 여는 것으로 연주의 끝을 알렸다. 1악장 33초, 2악장 2분 40초, 3악장 1분 20초, 도합 4분 33초의 연주 시간을 가진 악보는 침묵을 나타내는 TACET만 적혀있고 음표가 없었다. 

 작곡가 존 케이지는 4분 33초 동안 피아노뿐만 아니라 어떤 악기도 연주해서는 안 된다고 지시했다. 4분 33초 동안 청중은 조심스러운 움직임이 내는 소리, 헛기침 소리, 숨소리 등 연주 홀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움직임이 내는 소음의 조합을 들어야 했다. 존 케이지는 어떤 소리든 음악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파격의 시도를 한 작품이다. 그가 선불교에 심취해 있었기에 나올 수 있었던 작품이라고도 하는데 본 마음을 다스리는 명상이 침묵 속에서 진지해지는 것이라 하겠다. 선율 아름다운 연주곡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존 케이지는 자신의 작품 중 ‘4분 33초’가 가장 중요한 곡이라고 했다. 현대 음악사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평가 받음과 동시에 가장 논쟁의 중심에 있는 곡이라는 비평도 갖고 있는 작품이다. 조용히 4분 33초를 기다리면 소리 없는 외침이 가지는 침묵에 거대한 에너지의 발현이 느껴진다.

 존 케이지가 침묵의 곡을 구상하게 된 배경이 있다. 하버드대학의 무향실을 방문한 것이 계기가 됐다.  그는 이곳에서 완벽한 무음의 상태를 경험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두 개의 소리를 들었다고 했다. 높고 낮은 두 개의 소리는 자신의 몸에서 나온 것으로 높은 소리는 몸의 신경계에서 일어나는 것이고 낮은 소리는 혈액순환에서 생기는 소리라고 했다. 그는 죽을 때까지, 죽은 뒤에도 소리는 존재할 것이라며 완벽한 침묵은 불가능하다는 말을 남겼다. 

 막바지 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날에 두 편의 영화를 봤다. 하루에 두 편의 영화를 보기는 처음이었다. 그냥 집으로 가기에는 가슴이 먹먹해 찻집에서 먹먹한 가슴을 진정시키려고 애쓴 날이다. 영화 ‘김복동’은 올해 1월 구십 다섯의 연세로 세상 뜨신 위안부 김복동 할머니가 일본의 사죄를 받기 위한 27년간의 고투를 다큐 형식으로 편집한 영화다. 할머니는 일본의 만행을 세상에 알렸다. 흥분하거나 분노로 정신을 흩트리지 않고 단상에서도 인터뷰 장소에서도 할머니의 목소리는 단아하고 근엄했다. 

 "나이는 구십 넷, 이름은 김복동입니다." 유럽을 돌며 일본의 위안부 만행을 고발하는 회견장의 할머니는 꼿꼿한 자존감으로 몸을 세우셨다. 꽃다운 청춘이 짓밟힌 할머니의 일생이다. 침묵으로 삭혀야 했기에 가슴이 문드러졌을 세월을 이겨내고 할머니는 용기를 내셨다. 피붙이 가족들조차 집안 망신이라며 등을 돌린 상황에서 할머니는 외로운 싸움을 시작했다. 소녀상의 옆모습과 닮은 할머니의 지난한 삶에 가슴이 내려앉았다.

 할머니의 사죄 요구 목소리는 혼신을 다한 애간장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녹였다. 일본에도 양심의 목소리가 있어서 할머니의 투혼에 힘이 됐다. 함께 분노하고 공감해준 이들이 세상은 비열하게 침묵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줬다. 

 연달아 본 영화 ‘주전장’은 일본계 미국인인 미키 데자키가 위안부 문제와 일본 우익의 허구를 고발하는 다큐 영화다. 일본의 우익화가 형성된 배경과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관련 인물들의 인터뷰와 행동 전개가 적나라해 가슴이 울렁불렁 뛰었다. 맹신에 가까운 일본 우익의 논리는 무자비한 광신도 같았고 소수의 양심은 따뜻한 봄 햇살로 희망을 보여줬다. 침묵하라 누르는 힘에 빈사의 상태가 됐을지라도 양심은 침묵으로 묻히지 않는다. 살아서도 죽어서도 소리는 영원히 존재한다는 존 케이지의 말이 새겨지는 날이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