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청 전경.

경기도내에 생활임금 ‘1만 원 시대’가 목전에서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가파른 최저임금 인상으로 도 전역의 생활임금 1만 원 돌파가 이른 시일 내 달성될 것으로 예상돼 왔지만 올해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 기류와 맞물려 도내 시·군의 생활임금 1만 원대 달성도 미뤄질 전망이다.

23일 도와 일선 시·군에 따르면 이날까지 2020년도 생활임금이 고시·확정된 곳은 31개 시·군 중 26곳으로, 평균 인상률은 4.25% 수준이다.

도는 2017년 7천910원(시급)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매년 생활임금 인상을 통해 목표 수준인 1만 원을 달성했으며, 시·군 역시 꾸준한 인상 기조 속에 올해에만 10개 시·군이 생활임금 1만 원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내년도 생활임금 인상을 두고서는 분위기가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직 1만 원대에 도달하지 못한 21개 시·군 중 내년도 생활임금을 1만 원대로 높인 곳은 평택·이천(나군 기준)·김포 등 3곳에 불과하다.

이 외 대다수 시·군이 내년도 생활임금을 인상키로 결정했지만 9천 원대 후반 수준으로 1만 원대 진입을 코앞에 두고 주저하는 모습이다.

올해 생활임금이 9천10∼9천700원대인 고양·안산·광주·하남·이천·포천·의정부·구리 등을 비롯해 기존 8천 원대인 동두천·남양주·가평·양평 등도 내년도 생활임금 인상 수준을 9천990원 내에서 확정지었다. 이미 올해 생활임금 1만 원대에 접어든 군포·의왕·화성 등 3곳의 경우는 아예 내년도 인상을 동결했다.

이러한 기류는 지속적인 인상 속 타 시도 대비 상향평준화된 생활임금 수준, ‘최저임금 1만 원 달성’에 대한 정부의 속도 조절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또 통상적으로 시·군마다 최저임금을 생활임금 책정의 기본요소로 활용하는 가운데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폭 축소도 영향을 준 셈이다.

도내 A시 관계자는 "이미 생활임금 목표액을 빨리 달성했고, 다른 지자체에 비해 낮은 금액이 아니라는 판단"이라며 "심의 과정에서 최저임금 1만 원 달성이 안 된 상황에서 생활임금 인상 역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들도 일부 제기됐다"고 말했다. 

  남궁진 기자 why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생활임금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