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발전시설 등 에너지산업 분야의 오염원 배출을 얼마만큼 억제하느냐에 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천이 수도권 미세먼지 발생 주범 도시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서는 에너지산업 분야에 대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30일 국립환경과학원 등에 따르면 2016년 인천지역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은 총 2천247t이다. 배출원별로 살펴보면 도로·건설공사 등 날림먼지 751.6t(33.4%), 선박·항공 등 비도로 오염원 482.6t(21.5%), 발전·난방 등 에너지산업 369.6t(16.5%), 화물·승용차 등 도로 오염원 306.3t(13.6%), 제조·생산 등 사업장 184.6t(8.2%), 생물성 연소 등 기타 152.7t(6.8%) 순이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타 지역과 비교하면 인천은 초미세먼지 배출에서 에너지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과 배출 총량이 비슷한 서울은 2016년 2천523.7t의 초미세먼지가 배출됐다. 이 중 에너지산업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0.3%인 6.4t에 불과했다. 경기지역 에너지산업 분야는 총 1만1천126.7t 중 2.7%에 해당하는 301.8t을 배출했을 뿐이다.

이처럼 인천이 타 지역과 비교해 에너지산업 분야에서의 초미세먼지 발생량 비중이 큰 것은 인천에 광역발전사와 지역난방발전, 매립가스발전, 정유사 등 10개의 대형 발전·난방시설이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인천에서 전국 발전용량의 약 15%, 수도권 발전용량의 약 55%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석탄을 주 연료로 사용하는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본부는 지난해 초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인 질소산화물을 4천162t 배출했다. 포스코에너지(1천380t), SK인천석유화학(1천369t), 한국남부발전 신인천발전본부(1천352t), 한국서부발전 서인천발전본부(1천176t), 한국중부발전 인천발전본부(1천135t) 등이 뒤를 이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형 오염원 집중에 따른 환경영향 분석 및 오염물질 저감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지만 시는 사업자들을 특별히 제어하거나 관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화력발전 상한 제약과 환경설비 효율 강화 등에 관련한 조례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지역 내 주요 발전·정유사와 꾸린 ‘Blue Sky 협의회’를 통해 저감대책 수립과 집진시설 개선을 독려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환경단체들은 "발전소들이 대기오염물질 저감 로드맵을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지 시가 꼼꼼히 들여다봐야 한다"는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꾸준한 대화와 협의를 통해 남동발전이 2025년까지 총 1조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석탄연료 전환과 환경설비 보강 및 전면 교체에 나서도록 이끄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