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4년간 우리 지역 대표 ‘일꾼’으로 일할 국회의원을 뽑는 21대 총선이 100여 일 앞으로 다가왔다. 

국회의원은 흔히 ‘선량(選良)’이라 부른다. 국가를 위해 일하도록 뽑은 뛰어난 인물이라는 뜻이다. 명실상부한 선량을 제대로 가려낼 책임과 권리가 다시 한 번 국민에게 주어졌다. 이번 4·15 총선은 2022년 대선을 앞두고 치러지는 만큼 문재인정부 후반기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선거다. 선거 결과에 따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의 멍에를 쓸 수도 있지만 강력한 국정 동력을 회복할 수도 있다. 자유한국당은 ‘정권 탈환’의 기회가 될 수 있다. 군소 정당은 ‘생존’ 또는 ‘도태’의 운명이 걸렸다.

# 민심의 바로미터, 경기도

전국 최대 선거구를 자랑하는 경기도는 각 정당이 꼽는 최대 승부처다. 경기도에서의 승리는 곧 총선 승리로 직결된다. 지난 총선에서는 경기지역 전체 60석 가운데 민주당이 40석, 새누리당이 19석, 정의당이 1석을 가져갔다. 현재 의석 분포는 당적 변경 등에 따라 민주당 38석, 한국당 13석, 바른미래당 3석, 정의당 1석, 우리공화당 1석, 무소속 3석, 공석 1석으로 재편됐다. 

현재 경기도는 현 정부의 3기 신도시 조성 등 부동산 투기 억제 정책으로 땅값이 요동치고 있다. 여기에 한일 관계 악화로 반도체산업이 타격을 받으면서 삼성전자 등 대기업이 몰려 있는 지역경제도 출렁이고 있다.

# 달라지는 의석수, 60→58

전국 최대 선거구인 60곳을 차지하는 경기도 의석 수가 이번 총선에서는 안산, 군포 1곳씩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야 ‘4+1’(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협의체 합의로 본회의에 상정된 공직선거법이 통과되면서 총론은 끝났고, 선거구 획정이란 각론이 남은 상태다.

지난해 1월 31일 대한민국 인구(5천182만6천287명, 총선 15개월 전)를 기준으로 산출한 선거구 상하한 구간은 13만6천565∼27만3천129명이다. 여기에 따르면 군포갑(13만8천410명)과 군포을(13만8천235명)은 합쳐져 27만6천645명 규모의 한 지역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안산상록갑(19만9천211명)·을(15만6천308명), 안산단원갑(16만17명)·을(14만4천427명)의 경우 평균 21만9천988명 규모의 3개 선거구로 통폐합될 가능성이 있다.

# ‘여대야소’ VS ‘여소야대’

매 총선 때마다 경기도 표심은 전체 선거 구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해 왔다. 특히 4년 주기로 바뀐 ‘여대야소’, ‘여소야대’ 정치 지형은 이번 총선에서도 중요한 포인트다. 

경기지역은 19대 총선으로 ‘여소야대’ 정치 지형이 만들어졌다. 당시 민주통합당 등 야권이 52석 중 31석을 차지했고, 새누리당은 21석(40.4%)을 건지는 데 그쳤다. 20대 총선 결과에서도 야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이 여당 새누리당의 두 배에 달하는 40석을 차지했다. 새누리당은 19석을 얻는 데 그쳤고, 정의당은 심상정 대표가 고양갑에서 승리했다. 국민의당은 한 석도 건지지 못했다. 

국민의당의 출연으로 인한 민주당의 ‘야권 분열’ 속에서 새누리당이 선전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도내 유권자들은 청와대와 여당이 내세운 ‘야당 심판론’에 ‘정권 심판’으로 응답했다. 반면 17대와 18대 총선에선 여당이 승리했다. 이명박정부 출범 후 치러진 18대 총선에서는 경기도 51석 중 한나라당과 친박연대 등 여권이 34석을 차지했다. 통합민주당은 17석에 머물렀다. 17대 선거에선 탄핵 역풍이 불어 열린우리당이 44석, 한나라당이 17석을 확보했다. 이처럼 경기도 민심이 국정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열쇠인 만큼 이를 둘러싼 치열한 격돌이 예상된다.

# 거대 정당만의 전쟁터?

총선을 앞두고 경기지역에서는 민주당과 한국당을 제외한 정당들의 세력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관심사다. 

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은 도내 60개 선거구 중 48개 선거구에서 후보를 냈고, 정의당은 13개 선거구에 후보를 등록했다. 그러나 선거 결과 정의당 심상정 의원만이 고양갑에서 당선됐고, 국민의당은 한 곳에서도 당선인을 배출하지 못했다. 이처럼 거대 두 정당 외의 당이 경기지역에서 당선인을 배출하기는 쉽지 않다. 이번 선거에서는 당 분열 상태에 놓인 바른미래당이 침체기를 겪고 있는데다, 정의당 역시 움츠러든 모습이다. 다만, 바른미래당과 정의당 모두 현역 의원(바른미래당 3명, 정의당 1명)들이 본격적으로 선거전에 돌입하는 시기에 맞춰 당력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 신구 조화 가능할까?

이번 총선은 현역 의원들의 불출마 선언으로 ‘신구 조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민주당 원혜영(5선·부천 오정), 백재현(3선·광명갑), 표창원(용인정)의원과 한국당 김영우(포천·가평)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원 의원과 백 의원의 경우 도내 여당 중진 의원으로 첫 불출마를 선언한 만큼 당내 ‘중진 용퇴론’의 불씨가 될 가능성이 높다. 총선을 앞두고 여야 정치권이 인물 쇄신을 강조하는 만큼 새로운 일꾼의 탄생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단, 정치신인들은 현역 의원 프리미엄을 넘어서야 한다. 20대 총선 당시 도내 60개 선거구 가운데 비례대표를 제외한 여야 현역 의원 47명이 출마해 새누리당 8명과 민주당 22명 등 총 30명의 현역 의원이 당선된 바 있다.

# 대도시권 표심 변화

20대 총선에서 민주당은 수원과 성남·부천·고양 등 대도시권에서 압승했다. 수원지역 5곳(갑·을·병·정·무)과 부천지역 4곳(원미갑·원미을·소사·오정) 모두에서 승리하며 대도시권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다. 경기도의 강남이라고 불리는 성남 분당갑·을 모두에서도 새누리당 후보가 패했다. 분당구가 생겨난 이후 총선에서 처음이었다. 

21대 총선에서는 3기 신도시에 대한 표심이 어떻게 드러날지가 관심사다. 문재인정부가 부동산 공급 정책으로 3기 신도시를 야심차게 내놓았지만 한국당 측은 고양시나 부천시 등 아파트값 하락과 미분양 문제 등으로 표심을 흔들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청년 신도시를 고양·부천 3기 신도시 부지 중 일부로 전환하는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박광섭 기자 ksp@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경기 판세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