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로 인한 인천지역의 피해가 타 시도에 비해 월등히 높지만 이에 대응한 지역 소방 여건은 매우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연구원이 정책연구과제로 수행한 ‘소방관서 배치 적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 결과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18일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6~2018년) 화재로 인한 인천시의 평균 인명피해는 총 107명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특·광역시 중 서울과 부산 다음으로 높은 것이다. 평균 재산피해액도 약 238억 원으로, 대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이에 대응할 인천지역의 소방은 부실한 수준이다.

준공일로부터 20년 이상 경과된 소방관서는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24개소(47.9%)로, 이 중 30년 이상 경과된 소방관서도 10개소에 달한다. 개별 소방관서의 내부적 여건과 외부적 환경을 다각적으로 검토한 결과 중앙과 갈산, 부평 119안전센터 등 원도심에 위치한 노후 소방관서는 상대적으로 업무 부담이 크고, 지역의 소방환경 취약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할 방안으로 소방력 재배치 및 소방관서 여건 개선 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도서지역 및 산업단지는 지역 특수성을 고려해 차별화된 소방력 배치 기준을 적용하고, 한시적 소방인력 지원이나 소방장비 전문화 같은 다각적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소방서비스 향상을 위해 소방력을 효율적으로 재배치함과 동시에 지역의 소방안전 취약성 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도시계획 수립 시 소방안전계획이 적극적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성윤 인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인천시의 여건과 환경에 맞는 소방관서 배치 및 소방력 산정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며 "소방안전사고 저감을 위해서는 소방력 강화와 더불어 소방환경 개선을 위한 지역 차원의 노력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동식 기자 dsha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