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주택과 산업시설이 인천지역의 화재 빈도는 물론 재산피해도 가장 큰 시설로 나타났다. 또 이들 시설이 밀집한 서구와 부평구, 남동구, 중구, 미추홀구 등에서 화재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인천연구원이 2019년 기획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안전도시 진단·시설물 및 노후 주택 화재실태 분석 결과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30일 보고서에 따르면 화재 실태 분석 결과 화재 빈도가 가장 큰 시설은 주거시설(27.0%), 산업시설(15.2%)이고, 재산피해가 가장 큰 시설은 산업시설(55.0%)과 주거시설(10.9%)로 나타났다.

특히 주거시설 중 주택의 노후도가 증가할수록, 주택 유형이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일 때 한 가구당 화재 발생 빈도와 피해 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독주택은 다른 주택 유형에 비해 인근 주택으로의 확산 가능성이 커 화재 예방과 신속한 소방 대처가 필요한 주거시설이다.

인천지역 단독주택은 대부분 도시지역에서 군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원도심 지역의 단독주택 밀집도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발생 확률과 관련이 깊은 주택 노후도를 최근 인천시 주택유형별 공급 및 멸실 통계에 근거해 2040년까지 추정한 결과,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주택 비중이 현재 약 20%에서 2040년 55% 수준으로 급증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단독주택은 60년 이상 노후화된 주택의 비중이 현재 3.8%에서 2040년 40.8%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돼 향후 노후 주택에 대한 대응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후 주거지역 상당수는 화재에 취약한 여건으로 화재 발생 시 소방도로 확보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일반단독주택 유형 중 32.8%가 소방도로 확보가 어려운 ‘소방장애지역’에 해당됐다. 연립주택(14.2%)과 다가구주택(5.7%), 다세대주택(5.9%) 역시 일부 주거지역은 소방장애지역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파트는 단 한 동도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연구원 민혁기 연구위원은 "노후 주거지역과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인천시의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인구 감소·저성장 시대에 진입하게 됨에 따라 시설물의 노후도는 예전보다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인천시민의 생명과 자산을 지킬 수 있는 방재정책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식 기자 dsha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