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19 성금 모금이 강제성 논란에 휩싸였다는 보도다. 논란의 발단은 지난달 교직원을 대상으로 성금을 걷는 과정에서 ‘코로나19 성금 모금액 확인서’를 받으면서 교원의 직위·성명·모금액을 쓰도록 했기 때문이다. 확인서를 개인별로 제출하는 것이 아닌 공람 방식으로 받았다는 것이다. 공개적으로 모금액을 쓰게 하면서 각 교직원이 얼마를 기부했는지가 그대로 노출되다 보니, 모금 참여 여부는 물론 기부 금액까지 눈치를 보며 기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성금 기부는 어디까지나 자율적이어야 하는데 공개적으로 이름과 모금액을 쓰게 하는 것은 ‘행정업무 편의를 위한 것이지 절대 강제적으로 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는 학교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강제성을 느낄 수 있는 상황이다. 자발적 기부가 아니라면 오히려 성금의 의미는 훼손되기 마련이다. 이 때문에 교직원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개인의 자율에 맡긴 긴급재난지원금 기부 또한 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긴급재난지원금 기부는 신청 단계에서 의사를 밝히거나 수령 후 근로복지공단을 통해 하도록 하고 있지만, 성금 모금과 마찬가지로 기관에서 기부 독려와 현황 파악 등을 명분으로 조사에 나서면 또다시 간접적인 강제성이 부여될 수 있다. 물론 강제가 아니고 자발적인 것이라고 하나, 이렇게 확인하는 절차가 있으면 분위기에 휩쓸려서 어쩔 수 없이 참여케 되는 게 인지상정이다. 정부에서도 "기부는 선의의 자발적 선택이며, 강요할 수도 없고, 강요해서도 안될 일"이라며 강제성 기부에는 선을 긋고 있지만 자발적 기부 성격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형식만 자발적 기부일 뿐 사실상 ‘울며 겨자 먹기 식’ 강요된 기부라는 점이다. 어려운 시기이지만 코로나19에 따른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각계각층에서 성금 기부에 나서고 있음은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기부하면 좋은 사람이고, 기부하지 않으면 나쁜 사람이라는 식의  이분법적 구분은 잘못이다. 기부는 자발성을 근거로 하는 것이지, 타의 또는 강요에 의해서 하는 행위는 기부가 아니다.  ‘관제 기부’ 우려를 불식시키고 진정에서 우러나오는 자발적인 대규모 기부운동이 확산되길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