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위기에 처한 친환경 학교급식 농산물 공급업체와 농민들을 돕기 위해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드라이브 농산물 판매’ 등을 기획해 지방 공공기관의 새로운 상생 모델을 만들어 낸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진흥원의 이러한 발 빠른 대처에는 ‘혁신’을 기치로 내세운 강위원 원장의 기관 운영 개선이 밑거름이 됐다는 평가다.
 

강 원장은 지난해 8월 취임 후 1년간 정책 철학과 실행 방안 등에 있어 진흥원 모든 직원들이 ‘새롭고 다른 방식’을 고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주력해 왔다. 그는 "원장 취임 후 단순히 사업의 양적 확장보다는 사업의 주체인 ‘사람’의 성장과 성숙에 집중했다"며 "직원들이 사회혁신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내부 교육과정도 ‘사회혁신가 대학’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장 내 민주주의’ 실현에 공을 들인 강 원장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전체 직원 140여 명에게 모두 개별적인 카카오톡 편지를 보내고 SNS를 통한 개별 의견 청취에 나서는 등 ‘소통 강화’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강 원장은 "직원 스스로가 조직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한 오해는 없도록 아래로부터의 직장 민주주의를 실천하고 싶었다"며 "자유로운 수다를 통해 창의적 상상력을 집합할 수 있는 공간인 ‘농(農) 다방’을 만들고, 제 개인 SNS를 통해 의견을 수시로 청취하는 등 조금씩 소통의 길을 넓혀 왔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취임 이래 최우선 과제였던 기관 체질 개선의 바탕을 완성한 강 원장은 이제 정책적 측면에서 흔들림 없는 친환경 공공급식 체계 마련, 농촌기본소득 실험의 성공 등에 진흥원의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강 원장은 "경기도 친환경 학교급식은 전국에서 유일한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며 "10년 뒤에도 흔들리지 않는 공공급식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당면한 큰 과제"라고 말했다.

특히 진흥원을 중심으로 도가 내년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에 나서는 기본소득과 관련, "농촌기본소득은 기본소득을 전 국민 기본소득으로 확대하기 전 실시하는 사전 단계 실험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성공과 실패를 따지기보다 인간이 물질적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질 때 얼마나 존엄해지는가를 확인하는 사례가 될 것"이라며 "향후 기본소득이 경기도만의 숙제가 아닌 여러 곳에서 확장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남궁진 기자 why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