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내항의 사업성 확보를 위해 현재 1·8부두로 한정한 사업구역을 2·6부두까지 확대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정성기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장은 인천시의회 ‘내항재생 뉴딜정책 연구회’가 인천내항 재개발의 바람직한 방향 설정을 위해 부산북항을 현장방문한 자리에서 이 같은 방안을 밝혔다.

인천내항 재생사업은 인천 원도심 재생의 핵심 사업으로, 시의회는 내항재생 뉴딜정책 연구회를 운영하며 인천내항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고자 11일과 12일 양일간 부산북항 등 부산지역 도시재생 현장을 방문했다.

연구회는 첫 번째 일정으로 지난 11일 해양수산부 산하 ‘부산북항재개발추진단’을 찾아 운영 과정을 살펴봤다.

정성기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장은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4층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부산북항 재개발사업 현황과 비전’ 브리핑을 통해 부산북항 재개발 과정의 문제점과 극복 과정을 설명한 후 인천내항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나름의 방향을 제시했다. 정 단장은 2015년 해양수산부를 대표해 현재 추진 중인 인천내항의 마스터플랜을 마련한 인물이다.

그는 "인천내항 재개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려면 시민사회가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시민단체의 다양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내항 재생사업에 한해서는 사업성 확보는 물론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도 한목소리를 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 단장은 내항의 사업성 확보 방안으로 현재 진행 중인 1·8부두의 한정된 사업 영역만으로는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만큼 2·6부두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인천시 등 지자체도 방관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이러한 시민사회의 통일된 목소리와 수익성 확보, 지자체의 적극적 참여 등 세 가지 부분이 똑같은 선상에서 진행된다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병배 대표의원은 "부산북항 재개발사업 전반을 살펴보면서 인천내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어느 정도 분명해진 것 같다"며 "랜드마크로서의 수변공간 도입과 2·6부두의 사업지구 추가 확대 등의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논의하고 검토해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의회 내항재생 뉴딜정책 연구회는 12일 폐공장을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 꾸민 수영구 망미동 소재 ‘F1963’을 방문해 재생사업 현장을 둘러봤다. 이번 현장방문에는 안병배 대표의원을 비롯해 민경서·임동주·박정숙 시의원과 이종선 인천시 도시재생건설국장, 박창호 재능대 교수, 인천내항 및 주변지역 재생을 위한 시민행동 관계자 등이 함께 했다.

부산=한동식 기자 dsha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