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인천비상행동 출범식이 지난 2월 11일 인천시청 앞에서 지역 환경단체와 시민사회단체 주최로 열려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기후위기 인천비상행동 출범식이 지난 2월 11일 인천시청 앞에서 지역 환경단체와 시민사회단체 주최로 열려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인천시민들의 목소리가 모여 이끌어 낸 기후비상상황 선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으려면 체계적인 정책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요구가 많다. <관련 기사 19면>

인천지역 49개 단체와 6개 정당, 개인 등은 지난 2월 11일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을 꾸려 인천시, 시의회, 시교육청의 책임 있는 각성과 대응을 촉구했다.

이날부터 한 달 동안 77명의 시민들이 기후위기 비상선언을 요구하는 릴레이 피켓시위를 이어갔다. 4·15 총선을 앞두고서는 7개 정당과 기후위기 대응 정책협약을 맺고 총선 후보자들에게 정책질의를 하는 등 정치권의 행동을 촉구했다.

기후선언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결의는 결국 인천시 기후비상상황 선포를 이끌어 냈다.

지구의 날인 4월 22일 시, 시의회, 시교육청 등은 기존 화석연료에너지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과감한 정책과 기후 관련 예산 확충, 교육과 캠페인을 통한 공감대 확산 등을 약속했다. 인천 10개 군·구 역시 6월 ‘대한민국 기초지방정부 기후위기비상선언’에 동참하며 광역·기초단체 모두가 기후위기를 직시하게 됐다.

이제 시민들의 요구는 정책과 제도, 예산을 통한 대응으로 본격화되고 있다.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10년 대비 절반으로 강화하고, 이를 현실화하기 위한 연도별 감축 목표와 이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또 인천지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5%를 차지하는 석탄발전 기반의 에너지체계를 전환하기 위한 재생에너지정책 수립, 석탄발전 폐쇄 로드맵 작성, 에너지 거버넌스 구성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문지혜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 기획간사는 "올해 코로나19와 긴 장마로 인해 기후위기에 대한 시민들의 체감도는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지만 여전히 대안은 부족하다"며 "기후위기는 에너지뿐 아니라 농업·노동·인권·청소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하고 합의해야 하기 때문에 시민들이 참여하는 방식의 정책 수립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각 분야의 협력체계 구축도 이제 시작 단계다.

시는 기후위기 민관워킹그룹을 꾸려 22일 첫 회의를 연다. 시교육청과는 기후위기 관련 내용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계획이 논의되고 있으며, 23일에는 학생들과 기후위기 대응 미래세대 공감 토크쇼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의회는 ‘인천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10월 5일부터 활동한다. 기후위기 대응 정책과 그린뉴딜 정책의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세미나와 간담회 등을 통해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특위 구성 결의안을 대표발의한 조선희(정·비례)의원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정책이 전반적으로 전환해야 하기 때문에 큰 방향성에 대한 제안이 오갈 것이고, 세부적인 것은 각 상임위에서 점검해 나가겠다"며 "기후 대응에 대한 구체적 목표를 잡고 행정과 시민들이 주체자로서 함께 할 수 있는 것들을 만들어 나가는 게 특위 활동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환경문제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