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제안하고 유엔이 지정한 ‘제1회 세계 푸른 하늘의 날’인 지난 7일 인천시청 앞에서 기후위기 인천비상행동과 영흥도 주민협의회 회원들이 ‘2030년 석탄 화력발전 없는 인천’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기후위기 앞에 실질적인 에너지 전환을 이뤄 내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주 배출원인 석탄화력발전의 감축계획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2020년도 인천시 기후변화대응 시행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시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중 산업부문은 7천999만8천t으로 비산업부문인 1천492만1천t보다 5.4배 많은 84.3%를 차지했다. 특히 산업부문 중 발전부문은 배출전망치의 88%에 해당했다.

지역 내 시설용량은 5천80㎿(총 6호기)로 국내 세 번째 규모인 석탄화력발전소가 있기 때문이다. 영흥석탄화력발전소는 2017년 기준 인천에서 배출한 온실가스 7천42만7천t 중 절반가량인 3천196만7천t을 단독 배출했다.

하지만 시는 그동안 영흥석탄화력을 비롯한 발전부문 배출량 감축에 적극적인 개입을 하지 않았다. 에너지 분야는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 등을 따라 지자체의 역할에 한계가 있다는 이유였다. 정부정책에 묶여 있는 사이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는 시민들에게 전가됐다.

지난해 인천지역 전력자립도는 247%였으나 소비비중은 4.7%에 그쳤다. 수도권에 전기를 보내기 위해 인천시민들이 미세먼지와 고압송전선로, 해양에 배출하는 온배수, 바다의 산성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 등을 감내해야 하는 것이다.

또 전국 단위 계획과 실적이 지역 실정에 맞지 않는 점도 문제다. 환경부는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등으로 지난해 발전소 온실가스 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고 홍보했지만 같은 기간 인천의 배출량 대비 감축률은 5%로 저조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 내 주 배출원인 석탄화력발전에 대한 자체 로드맵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인천에너지전환네트워크 등은 지난해부터 석탄발전을 2025년부터 점진적으로 감축하고 2035년에는 전면 폐쇄할 것을 요구해 왔다. 또 인천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제3차 인천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2021∼2040)’에 에너지 전환을 위한 재정 투자뿐 아니라 기술이전을 위한 교육, 주민 지원 등의 내용이 포함된 로드맵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도 펼치고 있다.

탈석탄에 대한 강력한 의지 표명을 위해 탈석탄 선언과 탈석탄동맹(PCA) 가입이 필요하다는 요구도 나온다. 충청남도의 탈석탄 선언 이후 2034년까지 노후 석탄발전소 30개를 줄이겠다는 정부 발표가 나오는 등 지자체 차원에서 정책 수립을 촉구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완기 인천환경운동연합 탈석탄TF팀장은 "영국도 8년 전까지 40%가 석탄발전이었지만 현재는 2.1%에 불과한 점을 보면 에너지 전환은 충분히 가능하다"며 "시가 실질적인 권한이 없다 해도 시민들의 풀뿌리 요구를 받아 산업통상자원부에 요구하는 과정에서 결국 정책에도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