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시행 20년을 맞는 인천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연령과 학력 수준이 높아지면서 참여자 처우와 작업환경 개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는 인천복지재단이 자활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취업률 변화와 도심 간 격차 등을 조사한 ‘인천자활사업 중단기 발전계획 수립연구’에 따른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천지역 자활사업 참여자들은 50∼60대와 대졸 이상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이나 부산에 비해 여성의 취업 증가율이 두 배 이상 높은 반면 초졸 이하 학력 인구 취업률은 서울과 경기에 비해 두 배 이상 감소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군·구와 동별 일자리 창출 개수 차이가 커 상위 10개 지역과 하위 10개 지역 새로운 일자리 개수는 40~160%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 자활사업 참여 시민은 2015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3천여 명이 참여했다. 참여자 수급 지위는 지난 5년간 비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은 줄어들고 조건부 수급자들의 참여가 늘어 전체 60% 이상 차지한다.

현재 자활사업에 참여 중인 시민 1천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자 44%가 만성질환을 앓은 경험이 있다. 자활사업 참여 이전에도 일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82.7%에 이르렀다. 이 중 정규직은 24%, 고용주이거나 자영업 비율은 12.7%, 월평균 소득 200만 원 이하는 74.3%로 자활사업 참여자 절반 이상이 이전에도 안정적이지 못한 근로 형태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활사업에 참여한 이유로는 ‘새로운 삶을 구상하기 위해’라는 응답이 30.4%로 가장 높았고 행정기관의 권유(27%), 취업할 곳이 없어서(25.6%) 등 순으로 조사됐다. 참여자 45.7%는 컴퓨터 관련 자격증 등 새로운 자격증 취득을 원했고 62.6%는 취·창업을 희망했다. 취업을 원하는 분야는 보건업이나 사회복지계열이라고 응답한 이들이 12.5%를 차지했다. 또 해결하고 싶은 문제로 소득과 주거 안정을 꼽은 이들은 각각 80.4%, 55.8%로 나타났다.

지난해 자활사업을 거쳐 취업이나 창업에 성공한 비율을 사업 유형별로 보면 ‘복지도우미·자활도우미·인턴형’ 자활사업이 65.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시장진입형’ 43%, ‘사회복지시설 도우미’ 42%로 조사됐다.

연구를 맡은 인천복지재단 유비 부연구위원은 "시대 변화에 맞춰 인천에 맞는 새로운 자활사업 모델을 만들어 자활사업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자리잡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