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학 인천 세원고 교감
전재학 인천 세원고 교감

대한민국은 가히 사교육 공화국이다. 2019년 한 해 동안 대한민국에서 사교육비로 지출한 금액은 21조 5천억이었음을 교육통계는 밝히고 있다.

이토록 사교육이 성행하는 것은 아직도 주입식 공부에 의한 산업화 시대의 ‘모방형 입시제도’를 맹신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학원이든 가정 과외든 현재 사교육과 관련된 불편한 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모방형 입시 공부를 신앙처럼 여기는 사교육은 교육과 지식, 실력이 무엇인지를 모르는 허상에 불과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오늘날 학교는 정규 수업이 끝나면 곧바로 학원으로 달려가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어려서부터 학원으로 내몰린 아이들은 당연히 학교가 끝나면 학원으로 향하는 것이 일상이 돼 있다.

학교에서 면학실을 마련해 자기주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해도 거의 빠지기가 일쑤다. 그 원인은 바로 학원 수강 때문이다. 그래서 아예 면학실 출석부는 오히려 결석부에 가깝다. 대개는 주 5일 중에 2~3번은 빠지게 된다. 

이런 공부는 인간의 사고능력을 키우지 못하고 단지 시험을 좀 더 잘 보기 위한 기술을 배우는 것에만 국한된다. 그래서 장기적으로 볼 때 이는 학생에게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데도 불구하고 학부모는 그것을 모르고 조급해할 뿐이다. 

유대인의 자녀교육에 관한 사례는 우리의 부러움을 흡입하기에 충분하다. 오천 년을 이어온 유대인 교육법은 우리나라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 번번이 언급되지만 현실적으로는 토양이 매우 다른 인재 육성법이다. 하지만 유대인은 세계 인구의 0.2%에 불과하고 또한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도 안 된다. 하지만 세계 노벨상 수상자의 30% 이상,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 교수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결과를 낳은 유대인 교육의 본질은 「탈무드」와 「토라」를 바탕으로 어려서부터 형성된다. 특히 유대인 교육의 가장 큰 장점은 대화와 토론의 ‘하브루타’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다. 경쟁 교육에 의해 성적이 행복순이 된 우리는 모두가 승리하는 유대인 교육의 고유한 방식을 깨닫고 교육매체를 통해 널리 소개해 왔다. 하지만 우리의 교육 현실은 얼마나 변했는가? 

다시 유대인 이야기다. 탈무드에 "가난한 어린아이들에게 배워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속성을 살펴보자. 부자 아이는 어떤 장난감을 갖고 싶을 때 부모에게 사달라고 조르면 되지만 가난한 아이는 돈이 없어 그 장난감을 대체할 다른 장난감을 찾는다. 그래서 가난한 아이들이 더 창의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유대인이 뛰어난 창의력으로 노벨상을 휩쓰는 것은 돈이 많고 과외를 많이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돈이 없고 보호해줄 나라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돈 자체는 세습이 될지 몰라도 돈이 없어 가난이 대물림된다는 항간의 논리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는 단지 패배주의적 사고에 빠진 사람들이 주장하는 허설일 뿐이다. 

최근에 어느 학생의 말은 핵심을 짚었다. 정규 수업 이후에 대부분이 학원으로 달려가는 학교에서 혼자서 면학실에 남아 공부를 하는 이유를 묻자, "남들이 다 한다고 따라서 그러고 싶지 않습니다. 학원은 득보다 실이 많습니다. (……)"

그렇다. 이 학생은 학원 공부의 허상을 잘 알고 있었다. 과거 암기식 ‘모방형 대입제도’ 모습을 그대로 답습하기 때문이다. 그는 스스로 ‘창조형 인재’로 거듭나기 위한 자기주도 학습 방법을 터득하고 있었다.

학교는 또래끼리 묻고 답하는 학습 공간, 요즘 젊은이들이 즐겨 찾는 그들의 방식에 적합한 스터디 카페식의 효율적인 학습 공간을 만들어 주자.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공부 환경 조성! 이것이 사교육의 허상을 일깨우는 처방이다. 부모의 등골을 휘게 하는 주입식 학습의 부끄러운 사교육, 언제까지 이를 알면서도 울며 겨자먹기식 교육을 계속할 것인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