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업. /사진 = 연합뉴스
조선사업. /사진 = 연합뉴스

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수준의 한국 조선산업이 정작 해양도시인 인천에서는 쇠퇴하고 있다. 조선산업을 인천 해양산업 범위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인천시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현재 인천에 남아 있는 조선소는 만석동과 화수동 일대의 중소형 조선소 6곳 정도다. 과거 인천에도 대형 선박 건조 및 수리가 가능한 조선소나 철공소가 있었지만 영종도 개발 및 매립 등으로 인천을 떠난 지 오래다.

시는 그나마 남은 중소형 조선소를 집약해 ‘거첨도 선박수리조선단지’ 조성을 추진했지만 주민들의 반대 등에 부딪혀 무산됐다. 결국 인천의 선박수리업체들은 모두 평택 등 타 지역으로의 이전을 검토하고 있어 인천의 조선산업은 사실상 고사 위기다.

인천항 등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조선소 단지 조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은 계속 나오고 있다. 2013년 인천항발전협의회가 마련한 간담회에서 항만 관련 업체 및 단체 관계자들은 "인천에 300t급 이상 선박 수리가 가능한 조선소가 없어 수리선박들이 타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 불편을 겪고, 지역경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 우리나라 해양산업 범위에 조선산업은 포함돼 있지 않다. 수산자원 및 해양관광 등 해양산업은 해양수산부, 조선산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정책이 구분돼 있어서다. 결국 전문가들은 ‘인천형 해양조선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해서는 시가 직접 계획을 수립해 역으로 정부 부처에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지역에서는 조선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하다고 보고 있다. 해양산업과의 연계뿐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는 남동산단 등 지역에서 경쟁력 있는 소재나 부품이 조선산업에 공급되는 등 클러스터화된다면 인천 경제 신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이는 수도권 타 지자체와 차별화되는 해양도시 인천의 중요한 과제라는 것이다.

결국 전문가들은 그동안 소외됐던 조선산업을 해양산업 범위로 끌어들이려면 시의 적극적인 자세가 우선돼야 한다고 제안한다. 정책 및 사업의 연속성을 위해서는 적어도 5년은 담당자가 바뀌지 않는 TF 구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봤다.

박창호 세한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과 교수는 "이미 뉴질랜드·호주·이탈리아 등에서는 중소형 조선소가 세계 최고 요트나 레저선박 수리를 소화하는데, 우리나라도 기술력이 충분한 만큼 인천도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인천형 해양조선산업클러스터를 과제로 부지 확보 및 정책 구상 등에 시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