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평등지수 중 경제활동, 의사결정, 안전, 가족분야의 성평등지수는 80점 이하로 조사돼 지수 개선을 위한 중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경기도 성평등지수 진단과 제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경기도 성평등지수 관리방안’ 이슈분석을 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성평등지수는 우리사회의 성평등 실태를 파악하고 성평등 정책을 체계화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된다. 성평등지수는 남성 수준 대비 여성 수준과 같이 남녀의 격차를 측정해 성비가 완전 평등일 경우 100점이 된다.

지역성평등지수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ㆍ복지, 성평등 의식ㆍ문화 등 3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경제활동(3개), 의사결정(4개), 직업훈련(2개), 복지(2개), 보건(3개), 안전(2개), 가족(4개), 문화·정보(3개) 등 8개 분야 23개 지표로 계산된다.

경기도 성평등지수 수준은 2019년 76.7점으로 지난 2015년(72.0점)보다 4.7점 상승했으며 전국 지역성평등 지수 개선 폭(4.3점)보다 상승폭이 컸다. 16개 광역시도 순위에서 경기도는 서울, 대구 등과 함께 중상위 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는 2015~2017년까지 중하위지역이었다가 2018년, 2019년 중상위지역으로 상승했다.  

3개 영역의 점수별로 살펴보면 ‘여성의 인권·복지 영역’이 86.7점으로 가장 높았고, ‘성평등 의식ㆍ문화’가 75.6점, ‘성평등한 사회참여’는 69.8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여성 인권·복지 영역’에서 안전분야 점수가 2017년 69.9점에서 2019년 74.0점으로 크게 상승했다.

경기여성가족재단은 도 성평등지수가 전반적으로 중위권이고 상승세이지만 경제활동, 의사결정, 안전, 가족분야는 성평등지수가 80점 이하로 지수 개선을 위한 중점 관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남성의 육아휴직, 가족내 가사 및 여가시간 성비 개선을 위한 일ㆍ생활 균형 문화 정착과 5급 이상 여성공무원 및 기업내 관리직 비율 개선 등 여성대표성 제고를 위한 지표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임혜경 재단 연구위원은 "성평등지수는 정부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증거기반 정책 추진의 근거가 된다. 성평등 지수를 활용해 성평등 목표를 수립하고 실국별 성주류화 제도와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하연 기자 l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