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를 맞으며 산업전반에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택배·배달산업은 언택트 시대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이 산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뿐만 아니라 앞으로 상당기간 동안 언택트 비즈니스의 핵심 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분야의 발전은 단순하게 기존 언택트 비즈니스의 후방 효과로 인한 성장에서 벗어나 쿠팡의 로켓배송과 배민의 라이더스에서 보듯이 배달과 택배 자체가 음식업과 쇼핑의 조화처럼 시너지를 내고 있다. 때문에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택배·배달산업이 기존과 달리 차별화된 서비스와 강점 등을 내세우며 어떤 방향성을 갖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예전의 소포 등 우편화물 서비스로 시작한 택배·배달서비스는 주로 원거리 서비스로, 그리고 B2C 보다는 B2B 형태의 서비스가 주류를 이뤘다. 

인터넷 시대가 시작되며 본격적인 인터넷 쇼핑몰 문화가 자리잡자 본격적으로 택배 서비스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이와는 별개로 국내 음식 문화 중에 중국 음식점을 중심으로 발달해온 배달 문화가 하나의 플랫폼 비즈니스로 태동하기 시작한 것은 우아한 형제들의 배달의 민족이 시초일 것이다. 

택배·배달산업은 코로나 사태로 본격적인 비대면 생활이 자리잡기 전과 인터넷 시대가 시작되기 전부터 이미 일상에 등장했다. 택배·배달서비스가 세계적인 유행이 된 것도 인터넷 이후 모바일 서비스가 시작된 시점이다. 

아마존의 배달서비스나 우버의 공유 경제 비즈니스 중 하나인 ‘우버잇츠’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소개되며 국내에도 본격적인 택배 및 배달 서비스가 시작됐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접촉이 의무화 되는 환경에서 우리는 기존의 IT기술로도 우리의 직장, 비즈니스 등의 기본 생활이 출퇴근이라는 특정 공간으로의 이동 없이 충분히 비대면으로 가능하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경험하게 됐다. 

이에 미국 등에서는 직장 출퇴근이 편리한 도심의 주택을 팔고 외곽의 주택을 구입해 이사를 나가는 등 새로운 주거 문화까지 자리잡기 시작했다.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해 이러한 언택트 문화가 자리 잡을수록 생활이나 쇼핑을 위한 모바일 및 온라인과 같은 언택트 구매는 더욱 활성화되고, 대규모 쇼핑 공간의 유지는 더욱 힘들어지며, 이에 언택트 구매에 따른 택배 및 배달 인프라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먼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후의 택배 및 배달산업은 자율주행차, 배달용 로봇 등 기술 발전에 따른 모빌리티의 혁명에 따라 원가 절감, 배송 시간의 단축 등을 통해 효율성을 더욱 높이게 될 것이다. 또 이러한 효율성 증대를 통해 저비용, 고품질의 서비스를 통해 또 다른 언택트 문화의 발전을 가져오는 등 언택트 비즈니와의 상호 선순환의 시너지 효과를 가지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또한 1년여 이상 지속된 코로나 사태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 폭증한 택배 및 배달 물량을 경험하고 소화하면서 택배 및 배달업계는 증가된 물량에 대한 나름의 인프라 확충과 노하우를 축적했기에 이러한 경험은 앞으로 중요하게 사용될 것이다. 즉, 임시적으로 대처했던 노동, 인프라, 직업 이동 등 물류 및 택배의 공급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영구적인 이동을 완성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 증가한 물량에 대해 완벽한 경쟁력을 가지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의 택배 및 배달 서비스는 기존의 가게와 소비자 같은 고정된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서비스에서 이동간의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온 디맨드(On-Demand) 방식의 서비스하는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온 디맨드(On-Demand)는 소비자의 개별적인 요구나 주문에 맞춰 바로 물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의 개념 혹은 경제체제를 뜻한다. 

한가지 예로 지금은 여행을 가게 되면 여행객과 캐리어가 같이 움직이는 시스템이다. 즉, 공항에서 입국을 하면 자신의 캐리어를 직접 가지고 숙소로 가서 체크인을 한 다음 짐을 두고 다시 관광을 나온다. 귀국할 때도 직접 캐리어를 가지고 공항을 가서 짐을 부치고 기다렸다가 탑승하게 된다. 

만약, 일찍 호텔을 체크아웃을 하게 되면 캐리어를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고 보관료를 지불하거나 호텔에 맡겼다가 관광을 하고 다시 캐리어를 찾으러 호텔로 돌아가서 캐리어를 찾아서 공항으로 가는 방식으로 중간에 시간 낭비와 이동간의 불편이 커진다. 

하지만 앞으로는 공항에서 바로 캐리어를 호텔로 보내고 여행객은 굳이 호텔로 가지 않고 바로 공항에서 관광을 나갔다가 저녁에 호텔로 가서 짐을 찾아 투숙하고 체크아웃 때도 바로 캐리어만을 공항으로 보내고 자신은 관광을 즐기다가 바로 공항으로 가서 택배 및 배달서비스로부터 캐리어를 픽업해 공항에서 바로 탑승하는 방식의 온 디맨드 방식의 택배 및 배달 서비스가 출현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온 디맨드 방식의 서비스는 항공사, 호텔 등과의 제휴를 통해 여행객이 항공권을 예약할 때 이미 여행객의 여행 동선을 따라 캐리어가 택배 및 배달서비스가 되도록 관련 사업이 연결될 것이다. 

이러한 택배 및 배달서비스의 발전을 통해 앞으로 우리는 단순히 집에서만 공간 이동이라는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시대에 살게 되는 것이 아니라, 여행 등 우리가 계속 이동하는 와중에도 내게 필요한 것을 맡기거나 보관하기 위한 ‘공간 이동의 속박’으로부터 해방돼 보다 자유로운 생활과 여행이 가능하도록 될 것이다.  

안유신 기자 ays@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