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은 21일 지난 3월부터 추진해 온 제물포고등학교 이전 및 인천교육복합단지 조성 계획을 전면 재검토 하겠다고 발표했다.

 시교육청은 원도심 교육 활성화 상생협의회를 구성해 새로운 대안을 찾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이나 일부 지역 여론의 분위기는 사실상 ‘철회’ 수준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번 전면 재검토 발표를 이전 계획 실패로 받아들인다면 제고 이전 계획이 무산된 것은 지난 2003년과 2010년 이후 벌써 세 번째다.

 그동안 제고 이전 계획이 무산되는 과정도 주민 등 지역사회 반대 의견으로 촉발된 정치권의 반발이 큰 영향을 미친 것도 다시 한번 반복됐다. 이 시점에서 몇 가지 짚어 볼 점이 있다.

 우선 시교육청의 제고 이전 계획 발표 시점과 방식이다. 지난 3월 도성훈 교육감의 제고 이전 계획 발표는 당시 기자회견의 주 내용이 아니었다.  

 당시 도 교육감은 인천교육을 재디자인한다는 구상을 밝히고 그 가운데 일개 사업인 미래시민교육 허브 조성을 위해 제고 위치를 활용하겠다는 것이었다.

 사실 진로교육원 신설 등을 위해 제고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은 지난해부터 검토됐다. 많은 이유 중 주된 이유는 제고가 교육부 지침에 의거 통폐합 대상교이기 때문이다.

 제고가 현 상태로 유지된다면 제고가 사라지는 것은 분명하다. 시간 문제다. 하지만 사전에 충분한 지역 의견 수렴 과정과 연구 데이터 없이 발표부터 하다 보니 시민들의 이전 반대 주장에 반론할 준비가 부족했다.

 2003년. 아니 2010년 이후 제고 이전 관련 데이터 혹은 이전을 위한 사전 준비를 했다면 이렇게 맥없이 전면 재검토가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여기저기서 소통이 부족했다고 지적한 부분이 바로 이 점이다.

 다음은 주민들이 학교 이전 반대를 주장하는 이유 중 하나인 원도심 활성화 관련이다.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동인천 인근 원도심 활성화의 책임은 중구, 동구 등 해당 지자체에 있다. 

 제고 역시 수십 년간 방치된 원도심 지역의 피해 대상이다. 하지만 시민들의 눈총은 이전을 원하는 학교와 교육청에 집중됐다.

 지자체나 지역 구의원, 시의원, 국회의원까지 전부 나서 제고 이전 반대를 외치고 전면 재검토가 발표되자 본인들의 업적이라고 자랑하기 바쁘다.

 특히 일부 구의원들은 시민들과 함께 이전 반대를 강력하게 외치고 오히려 전면에 나서 이전 계획에 대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오히려 그동안 동인천 인근 등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별다른 대책을 계획 혹은 조례 등을 추진하지 못해 부끄러워 해야 할 당사자들이다.

 동인천 등 원도심 활성화 관련 어떠한 사업이나 계획에 이렇게 많은 지역 단체장과 정치인들이 나서 한목소리를 낸 적이 있나 싶을 정도다.

 시민들도 교육청의 발표에 문제점을 지적해야 하지만 그동안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던 정치인들에게 따끔한 비판을 동반해야 한다. 

 전면 재검토 발표가 되자마자 일각에서는 제고 이전 문제는 내년 6월까지 조용하게 지나갈 것이라는 얘기가 돌고 있다.

 내년 6월 1일에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진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