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더함파크 전경.(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 = 수원시 제공
수원시 더함파크 전경.(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 = 수원시 제공

최근 6년간 임명된 수원시 산하 13개 공공기관장의 절반 이상이 시를 퇴직한 공무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시 산하기관 책임자 자리를 공무원 인사 적체 해소를 위해 활용하는 관행이 여전해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7일 수원경제정의실천연합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수원시 산하기관 책임자(기관장·사무국장) 임명 현황을 조사한 결과, 시 산하기관 책임자 39명 중 20명(51.2%)이 시 공무원 출신이었다.

수원도시공사, 수원문화재단, 수원시청소년재단 등 9개 산하기관을 거쳐 간 30명의 기관장 가운데 16명(53.3%)이 전직 시 공무원이고, 16명 가운데 12명(75%)이 구청장(4급)을 역임했다.

또 수원국제교류센터 등 4개 기관의 사무책임자인 사무국장 9명 가운데 4명(44.4%)이 시 전직 공무원이다. 이 가운데 2명이 구청장, 2명이 과장(5급) 출신이다.

앞서 수원경실련이 2009∼2015년 동일한 조사를 했을 때도 시 산하기관 책임자 27명 중 15명(55.5%)이 시 공무원 출신이었다.

수원경실련은 시가 승진이 어려운 공무원을 정년보다 일찍 퇴직하게 한 뒤 산하기관의 책임자로 보내 인사 적체의 숨통을 틔우는 그릇된 관행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 산하기관의 책임자를 임명하는 과정은 전문성과 공공성을 담보할 수 없었다고 꼬집었다.

수원경실련 관계자는 "수원시에는 산하기관 책임자의 전문성·공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인사 검증 시스템이 사실상 없다"며 "인사청문 같은 제도를 도입해 임명 절차를 개선하고, 검증 결과를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는 업무 파악을 제대로 못 하고 직원들과 불협화음을 일으키는 민간 전문가보다는 오랜 시정 경험과 업무 능력을 검증받은 간부공무원이 산하기관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민간에서 온 기관장이 사업 방향을 엉뚱하게 수립하거나 직원들과 소통하지 못하고 적응하지 못해 중도 사퇴하는 경우가 많다"며 "오히려 산하기관에서는 업무 협조가 잘 되고 유대관계가 좋은 공무원 출신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전승표 기자 sp4356@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