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구 인천시 환경특별시추진단장
장정구 인천시 환경특별시추진단장

미국과 러시아, 이라크와 인도에서는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독일과 벨기에, 중국과 일본에서는 폭우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상기후가 전 지구를 휩쓸며 인류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다. 하나뿐인 지구가 기후변화를 넘어 위기 상황이다.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전 세계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중립은 환경분야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뉴딜은 자원순환, 환경보호만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다. 산업과 경제, 사회 모든 분야가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사회로 리셋돼야만 가능하다.

인천 서구에는 국가환경연구단지가 있고 송도에는 GCF(녹색기후기금), EAAFP(동아시아대양주철새사무국) 등 환경 관련 국제기구들이 있다. 부평과 주안의 국가수출공단, 남동구의 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해 여러 산업단지들이 인천에 입지해 있다. 항만과 공항, 발전시설이 있고 제1경인, 제2경인, 제3경인, 제1외곽 등 고속도로로 수도권 교통물류 중심이다. 

인천은 임해공업지역으로 대한민국의 산업과 경제성장을 견인한 도시이다. 제철과 제강 등 철강산업에서의 그린뉴딜, 내항, 북항, 남항, 신항, 경인항 등 항만의 그린뉴딜,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항공산업의 그린뉴딜, 영흥화력, 신인천, 서인천 등 발전산업의 그린뉴딜과 녹색전환 이제는 필수이다.

2008년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됐고 현재 전국적으로 12개 강소특구가 지정돼 운영 중이다. 강소특구는 대학, 연구소 등 지역에 위치한 기술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고밀도의 연구개발특구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하고 지원한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와 산업, 주거와 문화가 집적된 자족형 특별 연구개발지역이다. 인천에는 인하대와 인천대, 광운대 등 대학들과 공공 연구기관들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이미 1974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 입주한 대덕연구단지 사례가 있다. 1990년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대학과 민간기업 부설 기관이 입주하면서 산·학·연 연계의 토대가 됐다. 2005년 대덕특구를 시작으로 광주특구와 대구특구(2011), 부산특구(2012), 전북특구(2015) 지정됐다. 연구개발특구는 축적된 첨단기술과 비즈니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돼 혁신 클러스터이다. 

그런데 아직 환경산업의 집적화 단지가 없다. 환경 관련 기술의 IT, NT, ET 등 다른 분야와의 융합 및 연계가 필요한데 아직이다. 지역 밀착형 기술사업화, 전략산업 고도화, 특화분야 전문인력 유치·양성·활용 및 지역 산·학·연 연계와 협력이 확대해야 한다. 

위기가 기회이듯 재활용, 소각과 매립 등 현재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자원순환정책을 산업화하고 집적화한다면 에너지 순환을 넘어 전 세계 환경산업 클러스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국가환경연구단지 인프라와 국제기구와 협업을 통해 환경기업의 집적화 및 기술의 융복합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제조업의 정체 및 고도화 부진, 서비스업의 생산성 저조를 연구 개발을 통해 극복함은 물론 지역경제와 환경보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 모빌리티와 드론, 나아가 AI 등 고부가 가치산업 발굴과 지역밀착형 기술개발, 특화된 전문인력 유치 및 양성과 활용, 산업과 학계의 협력 확대는 환경특별시 인천을 견고하게 할 것이다. 

환경특별시 인천이 환경산업을 선도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환경산업 선도를 위해 인천의 산업과 경제, 지방정부, 전문가와 시민사회가 협력해야 한다. 그린뉴딜의 단계적인 실천 목표를 설정하고 점검하며 함께 나아가야 한다. 

무엇보다 환경분야 강소특구인 에코사이언스파크의 인천 유치가 필요하다. 대학 등 전문 연구기관은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환경부와 과기부 등 중앙정부는 예산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